역대 지방선거는 정권의 중간평가 성격을 띠며 전통적으로 야권이 강세를 보였다. '정권심판론'이 어느 때보다도 맹위를 떨치는 선거이기 때문이다. 또 지방선거를 발판으로 대선행 티켓을 거머쥐는 사람이 많아 '대선 등용문'으로 통하기도 한다.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처음 실시된 1995년 지방선거에서 당시 여당인 민주자유당(민자당)은 참패하고 이름까지 신한국당으로 바꾸는 수모를 겪었다. 김종필 전 총재가 만든 자유민주연합(자민련)이 돌풍의 핵으로 부상하면서다. 민자당이 충청도를 홀대한다는 '핫바지론'이 지역 표심을 크게 자극했으며 결국 이는 1997년 대선에서 DJP(김대중+김종필)연대를 통한 정권교체로 이어졌다.
초대 민선 서울시장도 조순 민주당 후보가 차지했다. 조 전 시장이 내세운 '포청천' 이미지가 크게 인기를 끈데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박찬종 후보의 돌풍이 민자당 표를 분산시킨 것도 결정적이었다.
반면 1998년 지방선거는 정치적 연대의 시초인 'DJP연합'이 이어지며 여권이 승리를 거뒀다. 새정치국민회의가 서울시장(고건)·경기도지사(임창열)를, 자민련이 인천시장(최기선)을 차지한 완벽한 공조였다.
2002년과 2006년에 치러진 지방선거에서는 다시 양상이 바뀌었다. 야당인 한나라당이 각각 광역단체장 11석, 12석을 가져가며 압승했다. 2002년 김대중 전 대통령 아들들의 비리가 터지고 2006년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인기가 바닥에 떨어진 게 결정적이었다.
또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을 유력주자의 반열에 올린 것도 이 두 선거다. 이 전 대통령은 2002년 서울시장에 당선된 뒤 청계천 복원 등 굵직한 족적을 남기고 대선으로 직행했다. 2006년 당대표로서 선거를 이끈 박 대통령은 '커터칼 테러'를 당한 뒤에도 "대전은요?"라고 물었다는 일화로 동정론과 함께 '선거의 여왕'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정권이 바뀐 뒤 이명박 정부에서 치러진 2010년 지방선거도 야당의 무대였다. 민주당·통합진보당 등이 모인 '야권연대'가 필승 카드로 작용하면서다.
한나라당은 고전 끝에 서울을 가져가며 그나마 면을 세우는 듯했지만 오래가지는 못했다. 재선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전면 무상급식에 반대하면서 중도 사퇴했기 때문이다.
그 후 2011년에 치러진 재보궐선거는 서울시장을 10년 만에 민주당 몫으로 바꿔놓았다.
박원순 민주당 후보가 나경원 새누리당 후보를 제친 것이다. 안철수 무소속 의원이 스타 정치인으로 떠오른 것도 이때다. 당시 교수였던 안 의원은 줄곧 여론조사 1위를 달리다 박 시장 당선에 결정적으로 기여했고 재보선이 끝난 지 꼭 1년 만에 대선후보로 거듭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