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 양성등 항공·우주협력 급진전

우주기술협력협정 21일 체결

노무현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계기로 양국간 항공ㆍ우주기술협력 강화가 기대된다. 러시아는 미국과 더불어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항공ㆍ우주 강국. 지난 57년 10월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한 데 이어 61년과 71년 최초의 유인 인공위성 보스토크 1호, 우주정거장 살류트를 각각 발사하는 등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한다. 뒤늦게 이 분야에 진출, 80년대 말 우리별 1호 위성제작 착수를 시작으로 항공우주기술 개발에 나선 한국의 입장에서 러시아의 기술지원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양국이 21일 체결한 우주기술협력 협정에는 우주소재 연구, 우주 발사체 개발, 발사서비스 제공 및 이용, 과학자와 전문가의 교류 등에서 협력이 포함됐다. 우리로서는 러시아의 앞선 우주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진 셈이다. 특히 오는 2007년을 목표로 한 우주인 배출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 배출사업은 선발된 한국인 후보를 러시아로 보내 우주선 적응훈련 기회를 갖게 한 뒤 2007~2008년 러시아 유인 우주선을 타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최근 전체계획을 연말까지 확정하고 총예산으로 150억~200억원을 예상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