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태안군 마도 해역에서 조선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이 발견됐다. 그간 수중 고고학 연구를 통해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의 배가 발굴된 적은 있으나 조선 시대 선박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추후 조사를 거쳐 정확한 시대가 확인된다면 이 배는 최초로 실물을 드러낸 조선의 배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지난 6월부터 충남 태안군 마도 해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마도 4호선'으로 이름 붙인 침몰된 고선박을 발견했으며 배 안에서 조선 시대 백자 11점을 인양했다고 5일 밝혔다.
선박의 규모는 길이 11.5m, 폭 6m이며 생김새는 전형적인 한국의 고선박 형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배 안에서 조선 시대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분청사기 대접 2점도 발견됐다. 추가 조사가 필요하지만 발견된 이들 분청사기와 백자 등이 선박에 실려 있던 유물이라면 '마도 4호선'은 현재까지 한 번도 발굴된 적 없는 조선 시대 것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태안 앞바다는 서해 바닷길의 '4대 험조지(험난한 바다)'로 정박지인 마도로 향하는 길에 다수의 배가 침몰했다는 사실이 문헌에 기록돼 있을 정도다. 생활상을 간직한 배가 그대로 수장(水葬)돼 '난파선의 공동묘지' 혹은 '바닷속 경주'라 불릴 정도로 유물 발견이 활발한 지역이기도 하다. 현지 어부가 조업 중 고려 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를 발견해 신고한 것을 계기로 연구소는 2007년부터 수중 발굴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청자 운반선이던 '태안선', 호남의 곡물을 개경으로 운송하던 '마도 1호선'을 비롯해 보물로 지정된 고려청자 2점이 발견된 '마도 2호선', 최고 권력자들에게 보내는 화물들의 성격을 밝혀낸 '마도 3호선' 등 그간 발견된 고선박들은 모두 고려 시대의 것이었다. 국내 해양에서 발굴된 선박은 총 12척인데 이들 중 최근 통일신라 시대의 것으로 밝혀진 '영흥도선'을 뺀 나머지는 모두 고려의 것이다.
배 안에서 발견된 조선 백자는 종류별로 10점씩 포갠 상태로 모습을 드러냈다. 꾸러미 아래쪽에는 그릇이 깨지지 않도록 완충재로 사용했을 볏짚도 함께 확인됐다. 출수(出水)된 백자는 접시·잔 등 일상용기였다. 이 중 2점의 백자 촛대는 초 자체가 귀한 품목이었고 도자기로 제작된 사례가 드물어 도자사적 가치도 높다. 제작 상태나 기종 등을 따져봤을 때 이들 백자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지방에서 생산된 백자로 추정된다. 연구소 측은 "이들 백자 다발이 이번에 확인한 '마도 4호선'에 실렸던 것인지 아닌지 면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조선 후기에는 전국 각지에 가마가 산재해 수요지와 공급지가 인접한 까닭으로 해상유통을 통한 장거리 운송이 필요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번 출수된 백자가 이런 상식을 깨고 해로를 이용한 백자의 유통과정을 보여주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연구소 측은 현재 1차 조사를 끝냈고 날이 따뜻해지는 내년 4월부터 다시 '마도 4호선'에 대한 정밀 수중발굴을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