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K 사건 "이명박 주가조작 연루 여부 핵심"

처남·친형 회사 '다스' 차명소유·돈세탁도…李측 "투자자중 한명일 뿐"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의 개입 의혹으로 정치권을 뜨겁게 달궜던 이른바 ‘BBK사건’이 대선정국의 ‘메가톤급 태풍’을 예고하고 있다. 이 사건의 핵심인물로 미국에 체류한 김경준씨의 국내 송환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정치권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각 정당은 대선정국의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대책마련과 전략수립에 나서는 등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BBK사건’ 관련 의혹의 열쇠를 쥐고 있는 김경준씨가 귀국하면 검찰 수사 등을 통해 이 후보의 이 사건 개입 여부가 낱낱이 밝혀지고 그 결과에 따라 대선 판도를 뒤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복잡하게 얽혀 있는 이 사건의 쟁점과 이 후보 개입 의혹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BBK사건’의 핵심쟁점은 크게 이 후보의 ▲㈜다스 차명 보유 ▲옵셔널벤처스코리아 주가조작 연루 ▲돈세탁 등 세가지 의혹이다. 이 의혹들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이 후보가 기소될 수도 있어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주가조작 사건 연루의혹=투자자문사 BBK 대표 김씨는 지난 2000년부터 이듬해까지 투자자를 모아 자신이 인수한 옵셔널벤쳐스코리아의 주가를 조작하고 회삿돈 384억원을 횡령해 미국으로 도피했다가 현지에서 검거됐다. 이 후보는 김씨와 함께 LKe뱅크라는 회사를 세웠고 이 회사 자금이 주가조작 범행이 이뤄지던 당시 김씨 측에 투자됐다는 점 때문에 이 후보가 시세조종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대통합민주신당 측은 김씨가 ‘주가조작용 실탄’으로 운용한 역외펀드 MAF에 LKe뱅크 돈 150억원이 이사회 승인을 거쳐 2001년께 집중 투자됐고 시세조종 과정에서도 LKe뱅크 계좌가 사용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후보 측은 자신은 MAF에 투자했던 투자자 중 한 명일 뿐이라며 일축하고 있다. LKe뱅크는 김씨의 권유에 따라 MAF에 투자했지만 수익금은커녕 원금도 받지 못해 현재 소송을 벌이고 있으며 김씨가 금융감독위원회에 스스로 제출한 주식보유변동 보고서에도 김씨가 MAF를 100% 소유한 것으로 나와 있다는 것이다. ◆ (주)다스 차명 소유 의혹=이 후보의 처남 김재정씨와 친형 이상은씨의 회사인 (주)다스가 사실상 이 후보의 회사이고 미신고 상태로 차명소유한 것이어서 공직자윤리법을 위반한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BBK는 ㈜다스로부터 190억원이나 투자받았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김씨가 ㈜다스의 자금을 주무르는 실소유주가 누구인지 잘 알 것이기 때문이다. 김씨는 “190억원이 BBK와 LKe뱅크, e뱅크증권중개 등 세 회사의 자본금으로 사용됐는데 이 회사들은 모두 이 후보의 것으로 내가 투자한 돈은 전혀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반면 이 후보 측은 “(주)다스는 처남과 형의 회사이지 내 회사가 아니며 이들에게 BBK에 돈을 투자하라고 권유한 적도 없다”면서 의혹을 일절 부인하고 있다. ◆ 돈세탁 의혹=이 후보가 대표인 LKe뱅크가 MAF의 주식과 채권을 매입하고 그 돈이 페이퍼 컴퍼니인 AM파파스를 거쳐 LKe뱅크로 다시 송금되는 등 돈세탁 흔적이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그러나 이 후보 측은 김씨가 주가조작과 자금운용을 위해 스스로 돈을 돌린 정황일 뿐 이 후보가 개입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맞서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