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표류하는 부동산 정책

해외부동산 투자금액이 4개월 연속 1억달러를 넘어서면서 올해 7월 기준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투자금액을 초과할 정도로 해외부동산 투자비중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긍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지만 국내에 투자돼야 할 에너지가 그것도 급격하게 새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하는 바가 크다. 해외부동산으로 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가는 이런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현재 우리 부동산정책이 국내 부동산에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저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지금 우리 부동산정책은 ‘부동산 가격안정’에 혈안이 돼 균형감각을 잃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분양가상한제’다. 주택정책 본연의 기능은 서민주택의 공급 확대와 가격안정을 통한 서민생활안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분양가상한제는 이런 정책 본연의 기능을 넘어 모든 아파트에 당국이 분양가를 제한한다. 시장경제 체제에 어울리지 않는 매우 비정상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장은 가격이 안정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어도 시간이 점차 지나면 보이지 않는 부작용으로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더 큰 이윤이 날 수 있는 곳에 투자를 늘리면서 주택공급이 줄어들 수 있는 상황이 당장 예상된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품질을 떨어뜨려 이윤을 확보하거나 분양가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무원 등에 대한 로비를 하는 부작용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비싼 땅에 좋은 자재를 투자해 비싸게 팔 수 있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로 인해 전체적인 가격안정을 해칠 수 있는 것이 우리 부동산정책의 기조인 것이다. 주택가격안정은 값싼 주택을 많이 지어서 이루는 것이지 비싼 주택공급을 막는 방법으로 이룰 수는 없다. 그 밖에도 임대주택의무공급, 종합부동산세 등도 우리 경제의 전체적인 틀과 비교할 때 자연스럽지 못한 지나친 개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여론을 호도하고 있고, 야당은 표를 의식해서 적극적인 반대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 사이에 우리 부동산정책은 알 수 없는 곳으로 계속 표류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