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년 가까이 한 해 절반 이상은 물에 잠겨 훼손돼 온 울산 반구대 암각화 보존 문제가 새 정부에서 해결될지 관심이 쏠린다.
문화재청은 2017년까지 반구대 암각화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암각화 보존 방법을 둘러싸고 10년 이상 끌어온 중앙과 지방 정부, 문화재 관련 학자집단과 지역 주민 간의 갈등이 해결되지 않고 있어 향후 일정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선사인들의 생활상을 그린 신석기 시대의 바위그림이자 인류 최초의 고래사냥 유적인 반구대 암각화는 1971년 12월 발견돼 국보 제285호로 지정됐다. 하지만 발견 이전인 1965년 사연댐이 건설돼 문제가 생겼다. 고도 53~56.7m에 새겨진 반구대 암각화는 사연댐(만수위 60m)에 물이 차는 여름이면 5~6개월 가량 침수돼 훼손이 이어지고 있다.
이상목 울산암각화박물관장(고고학 박사)은 28일 "반구대 암각화는 물에 의해 팽창과 용해가 잘 되는 퇴적암에 새긴 그림인데 물에 잠겼다 빠졌다 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훼손이 빨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반구대 암각화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데 지역 주민은 물론 중앙·지방정부, 학계, 시민단체 간 합의가 이뤄져 있다. 문제는 방법론이다.
문화재청과 학계ㆍ시민단체는 자연경관이 훼손되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가 어렵기 때문에 사연댐의 수위조절만이 반구대 암각화를 보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울산광역시와 지역민은 '암각화 보존'과 함께 '주민 식수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강조해 왔다. 사연댐이 주민 식수 공급원으로서 기능을 유지하려면 생태제방 축조가 현실적인 해답이라는 게 울산시의 견해다.
울산시와 문화재청은 국무총리실의 중재로 2011년 청도 운문댐으로부터 하루 7만t의 맑은 물을 공급받는 걸 조건으로 사연댐 수위조절에 합의했었다. 그러나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이 방법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나 무산된 바 있다.
박성환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은 "지역 주민에게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는 것은 지방정부로서는 절대 양보할 수 없는 핵심 임무"라면서 "식수문제를 함께 풀기 위해 중앙ㆍ지방정부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