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모 유전자 결핍이 암 발생 원인"

암센터 장연규박사 세계 최초 규명'
분자세포지'에 표지논문으로 게재

`씨름하는 유전자'로 불리는 스모(SUMO) 유전자가 암 억제의 주요 요인이라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20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국립암센터연구소 발암원연구과장인 장연규(42)박사가 이같은 사실을 세계적인 생물학 권위지 `분자세포(Molecular Cell)지' 9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암 발생 원인으로 유전물질을 공격,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방사선과화학물질, 활성산소 등이 꼽혀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어도 유전자 집합체인 염색체의 불안정화가 암 발생 원인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제기됐다. 장 박사는 이를 토대로 맥주효모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스모유전자의 결핍이 높은 수준의 이질염색질 불안정화 현상을 야기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정상세포 군집이 붉은 색을 띤 반면 스모 유전자를 완전 제거한 군집의 경우 흰색과 분홍색을보인 것이다. 이는 스모 유전자가 염색체 안정화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단백질 기능을 조절하며, 스모유전자 결핍이 세포에 염색체 이상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규명된 것으로 암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이번 연구는 암의 초기발생 단계를 차단할 수 있는 표적을 제공한 것으로풀이된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향후 항암제와 암 예방 약물 개발, 암을 비롯한 만성병 치료 약제 개발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장 박사는 "이번에 구축된 약물탐색 시스템을 통해 염색체 안정화를 도모할 수있는 약물을 발굴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부작용 없는 새로운 표적항암제 개발을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 박사는 지난 95년 서울대 분자생물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연구원을 거쳐 2002년부터 국립암센터 폐암연구과 책임연구원을 지냈으며 올해 발암원연구과장이 됐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