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SectionName();
[사설/8월 17일] 잇따른 신종 플루 사망과 허술한 대응체계
신종인플루엔자 감염 사망이 잇따르고 있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감염자들이 사망에 이른 데는 초기대응 잘못의 탓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허술한 대응체계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신종플루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사망자까지 발생한 만큼 높은 경각심과 함께 대응 강화가 시급하다.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에 따르면 경남 거주 56세 남성이 태국여행을 다녀온 후 신종플루 증세를 보이다가 지난 15일 급성폐렴 합병증으로 숨졌다. 16일에는 서울의 한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63세 여성이 폐부종에 이은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사망했다. 이 여성은 해외여행을 다녀온 적이 없다고 한다. 주 감염경로로 알려진 해외여행뿐 아니라 '지역사회 감염'도 확산되고 있으며 사망자까지 생김으로써 이제 우리나라가 신종플루의 안전지대가 아님이 분명해졌다.
그동안 신종플루 감염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데도 우리는 주의를 소홀히 해왔다. 5월 첫 감염자 발생 이후 2,089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나 대부분 중증 증상 없이 완치됐고 사망사례가 없자 보건당국ㆍ의료기관ㆍ국민 모두 초창기의 경계심을 풀고 느슨하게 대응한 것이다. 남성 사망자의 경우 증세가 나타난 뒤 보건소를 포함해 의료기관 3곳을 돌았지만 6일 뒤에야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았고 여성 환자도 병원 3곳을 돌면서도 폐렴치료만 받았다고 한다. 보건당국의 대응체계에 구멍이 뚫렸고 의료기관 진료에도 문제가 있었다는 이야기다. 방심이 사망을 부른 셈이다.
신종플루는 앞으로 더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각급 학교가 곧 개학하는데다 남미에서 보듯 날씨가 서늘해지면 바이러스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미 6월 신종플루의 팬데믹(대유행)을 선언하고 가을에 앞서 각국의 충분한 백신 준비를 당부하기도 했다. 보건당국은 발열환자에 대한 검사 및 항바이러스제 투약범위 확대 등의 대책을 내놓았으나 뒷북 대책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확산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보다 강력하고 효율적인 방역대책이 필요하다. 의료기관과 국민들도 진료와 개인위생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