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까지 대부분 개방 목표 … 신사업 창출 도움 기대
지방 대학생 A(22)씨는 요즘 각종 언론인터뷰 요청 쇄도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이다. 젊은 나이에 등산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대박을 냈기 때문이다. A씨가 개발한 앱은 각자의 선호하는 난이도에 따라 등산로를 찾아주는 가 하면, 노루 등의 야생동물이 자주 출현하는 지점을 표시해 주고, 숲길에 얽힌 스토리를 해설해 준다. 특히 산행을 할 때 들러볼 수 있는 인접지역의 주요 명소는 물론 맛집 정보까지 표시해 줘 등산애호가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몇 년 안에 현실이 될 대학생 A씨의 성공스토리다. A씨가 대박을 낸 것은 산림청이 공개한 등산로ㆍ숲길정보나 동식물 정보를 남들보다 한발 앞서 눈여겨 본 결과다. 이른바 산림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1인 창업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셈이다.
성인 1,500만명이 월 1회 이상 산행에 나서고 연간 등산인구는 3,000만명에 달할 정도인’등산대국’ 한국. 그러나 지금까지 산에 대한 정보 공개는 상대적으로 미미했고, 이렇다 할 관련 산업도 뒤따르지 못했다. 대부분 산은 정상을 정복하는 것으로만 생각했고, 산을 이용해 뭔가를 해 볼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러나 산림청이 창조경제의 일환으로 산에 대한 각종 정보를 공개해 이를 활용해 민간에서 각종 산업으로 발전시키도록 하기 위해 정보를 속속 공개하면서 이 같은 흐름에도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A씨처럼 산림정보를 활용해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이를 잘만 활용하면 등산을 더욱 안전하고 재미있게 하면서 가족과 함께 하는 ‘놀이’로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산림청은 우리나라 산 4,440개 중 532개 데이터베이스(DB)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는 이 가운데 150개 정도만 공개되고 있는데, 2017년까지 공익에 위배되지 않는 정보는 모두 공개한다는 목표다. 그만큼 사업기회나 산을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17일 산림청에 따르면 늘어나는 산림정보 수요에 맞춰 산림정보를 체계화하는 동시에 공개 범위를 대폭 확대하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산림정보를 활용해 신사업을 창출하도록 유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창조경제에 일조하기 위한 차원이다.
올해 등산로ㆍ숲길 정보, 숲 해설 및 숲 이야기 등 7개를 개방한데 이어 내년에는 산불발생위치도와 명산등산로 등 12개를 추가 개방하고 2017년까지 53개 DB를 개방할 예정이다. 백두대간정보와 산림항공사진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개할 방침이다.
모바일을 통해 직접 실시간 산행서비스를 업로드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은 내년 에 구축이 완료된다. 이렇게 되면 산행위험을 줄일 수 있고,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등산로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림청은 또 갈수록 인기가 높아지는 국공립자연휴양림은 물론 사유자연휴양림 정보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자연휴양림예약시스템을 2017년까지 통합해 운영할 계획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인접지역 주요명소와 맛집 등 지역 관광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국립공원ㆍ문화재 정보 등 타 부처, 지자체 등이 가진 관련 정보도 제공함으로써 만족도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제까지 연구목적으로만 개방해 온 식물종 578만건의 정보도 대대적으로 공개한다. 높은 사회경제적 가치를 가진 DB임에도 불구하고 저작권 문제와 시스템 미비 등으로 민간활용이 어려웠는데 이를 해소해 식물종 정보의 민간활용을 촉진하겠다는 복안이다. 생물종 정보 개방 및 민간 활용을 통해 동ㆍ식물 유통 산업 및 신품종 개발 등 관련 산업 활성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생물종 관리 및 안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식물 세밀화 정보를 활용한 문화 컨텐츠 제작 등 동ㆍ식물 관련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홍명세 산림청 운영지원과장은 “녹화된 산림을 산림휴양 ㆍ 치유 ㆍ 교육 등 산림복지나 고부가산업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국민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며 “국민 모두가 산림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국민 눈높이에 맞는 산림정보를 가공해 적극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과장은 특히 “등산로ㆍ숲길, 산림재해 정보 등을 민간이 활용할 경우 신산업이 창출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연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