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미래를 달린다] 친환경 기술 개발 '사활건 전쟁'

환경규제 강화ㆍ高유가 영향 미래생존 달려
국내 차업계는 회장이 직접 진두지휘 나서

지난해말 세계 5대 모터쇼 중 하나인 도쿄 모터쇼가 열리는 일본 지바현 마쿠하리 전시장. 세계 14개국 263개 업체들이 참가한 도쿄 모터쇼의 시선은 단연 친환경 차량에 모아졌다. 한국의 현대ㆍ기아차를 비롯해 일본 도요타, 미국 GM 등 메이저 업체들은 연료전지차와 하이브리드 차량, 오염 물질을 최소화한 디젤차 등을 대거 전시, ‘친환경’ 이미지를 심는데 여념이 없었다. 전세계 자동차 업체의 화두가 한눈에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친환경 자동차만이 살길이다= 전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와 고유가 행진으로 친환경 자동차 개발은 이제 자동차 업계의 사활을 좌우하는 문제로 떠올랐다. EU는 지난해 7월부터 납ㆍ카드뮴ㆍ수은 등 4개 중금속이 사용된 자동차의 수입을 금지했다. 또 오염자 부담원칙에 따라 자동차의 재활용률을 2006년 80%, 2015년 85% 이상으로 높이도록 했다. 특히 미국ㆍEU 등은 이산화탄소 규제 강도를 갈수록 높여나갈 태세다. 이 같은 환경 장벽에 적응하지 못하면 제품 판매 자체가 원천 봉쇄된다는 얘기다. 이 같은 환경 규제 강화는 국내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올해부터 ▦배출가스 허용 기준 강화 ▦배출가스 저감장치 의무화 등을 엄격한 환경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내년부터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될 경우 일정 기준의 에너지 효율과 배출가스를 동시에 충족하는 자동차에는 기술개발 자금자원, 구매ㆍ소유자에 대한 세제 지원, 주차료ㆍ통행료 감면 등의 조치가 실시된다. ◇자동차 혁명 눈앞= 하이브리드, 연료전지차 등 화석 연료를 대신할 미래형 자동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친환경 개술 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등장한 상황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자동차 등 미래형자동차는 2005년 전체 시장의 2%, 2010년 7%, 2015년에 22%, 2020년 42%를 점유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자동차 혁명에 대한 선진 메이커들의 기세 싸움도 치열하다. 친환경 차량의 선두 업체인 일본 도요타 자동차는 2005년까지 하이브리드 차량 6개 모델, 총 30만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GMㆍ다임러크라이슬러ㆍ닛산 등도 경쟁력 있는 미래형 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 관계자는 “선진 메이커들을 중심으로 환경친화적인 자동차로 점차 전환되는 추세임을 감안할 때 2010년 이후에는 친환경 미래형 차량의 기술력 확보가 생존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내업체, 회장이 직접 나섰다= 현대ㆍ기아차 등 국내 자동차 메이커들도 그룹 회장을 중심으로 친환경 경영을 핵심 경영 전략으로 추진하는 한편 미래형 자동차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ㆍ기아차 그룹은 지난해 ‘2010 글로벌 환경경영 선포식’을 갖고 ▦환경친화적 제품개발 시스템 구축 ▦오염물질 배출 저감 및 그린구매 체제 구축 ▦환경친화적인 마케팅ㆍ판매ㆍ서비스 체제 구축 ▦신차 개발 때부터 재활용 재료 활용 등을 나서도록 했다. 특히 정몽구 회장이 전사 환경위원회 위원장을 직접 맡아 친환경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같은 환경경영 열풍은 GM대우ㆍ쌍용ㆍ르노삼성자동차도 마찬가지다. 이들 업체들은 선진국의 환경 규제에 맞서 오염 물질을 최소화하고 연비를 대폭 향상시킨 자동차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는 한편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미래형 자동차 개발도 서두르고 있다. ◇정부 지원 시급하다= 친환경 자동차의 중요성의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한국은 정부 지원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 정부는 연료전지차 개발에 5년간 17억 달러(약 2조원), 일본은 2년간 680억엔(약 8,1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럽은 하이브리드카 개발에 4년간 21억유로(약 3조원)를 지원키로 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정부가 지난해 미래형 자동차를 10대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 중 하나로 선정했지만 올해 지원 예산은 70억~80억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자동차공업협회 관계자는 “친환경자동차는 개발 초기에 엄청난 투자가 필요한 데다 일정 규모의 양산이 이뤄지기까지 수익을 남기기 어렵다”며 “국내 업체들이 중장기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가 개발 자금을 지원해야 줘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