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토피아] 광대역 통합망이 ‘블루오션’

초고속인터넷은 이제 만원
무려 105개 사업자 난립속 KT, 와이브로등 중점 투자
파워콤은 가입자 유치 적극


초고속인터넷 시장은 이제 만원이다. 가입자만 1,220만명에 달한다. 대한민국의 인구는 4,820만명, 가구 수는 1,500만에 달한다. 이동전화와는 달리 한 집에서 2개 이상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쓰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할 때 초고속 인터넷시장은 더 이상 팽창할 여지가 별로 없는 셈이다. 치열한 경쟁으로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지난 2003년 두루넷을 필두로 상당수 초고속인터넷 업체들이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올 10월에는 초고속인터넷 시장에서 KT의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숫자가 사상 처음으로 줄어드는 이변도 일어났다. KT의 10월 가입자 숫자는 624만185명으로 9월에 비해 3,855명 감소했다. 초고속인터넷시장은 이제 전형적인 ‘레드 오션(Red Ocean)’이다. 지난 2004년 기준 연간 매출 4조3,000억원 짜리 시장에 무려 105개 사업자가 난립해 있다. KT, 하나로텔레콤 등 기간통신사업자뿐 아니라 67개 유선방송사업자, 30개 별정통신사업자도 인터넷서비스를 제공중이다. 최근에는 LG계열의 파워콤이 경쟁에 가세했고, 유선방송업체(SO)들도 공동법인을 만들어 TPS(케이블TV+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러다 보니 초고속인터넷업체가 신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올 4월 하나로텔레콤은 ‘휴대인터넷(와이브로)’ 사업권을 포기하는 강수를 택했다. 지난 96년 이후 정통부가 지정한 기간통신사업자가 사업권을 자진 철회한 것은 10년 만에 처음이다. 박병무 하나로텔레콤 경영위원회 의장은 “당분간 매년 신규투자비가 3,500~4,000억원씩 소요되지만 수익이 많지 않아 하나로는 당분간 기존 사업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에만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제 초고속인터넷도 정액제가 아닌 ‘종량제’로 가야 된다는 견해도 피력했다. 주요 통신서비스 업체 가운데 KT와 파워콤만이 가장 적극적으로 차세대 초고속인터넷으로 분류되는 광대역 통합망(BcN)으로 눈길을 돌려 투자에 나서고 있다. KT는 ‘미래전략 2010’을 통해 블루 오션(Blue Ocean)을 찾고 있다. KT의 기본 전략은 ▦음성과 데이터의 통합 ▦유ㆍ무선 통합 ▦통신과 방송의 통합 등으로 요약된다. KT는 ▦휴대인터넷 서비스인 와이브로 ▦홈네트워크 ▦콘텐츠 사업 ▦미디어 사업 ▦SI사업 등 5대 신성장 사업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특히 와이브로는 KT의 중점적인 투자 대상 분야다. 특히 KT는 부동산에 IT를 통합한 신규 시장을 노리고 있다. 그것은 바로 ‘유비쿼터스(U)-시티’다. 인천, 부산ㆍ흥덕 등에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이 사업을 추진중인 KT는 내년까지 6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20여개 도시에 u-시티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미 지난해 7월 u-시티 추진단을 출범시킨 후 6,400만 평 규모의 인천 송도 영종 청라 지구에서 u-시티 구축작업에 들어갔고, 용인 흥덕 지구에는 40세대를 대상으로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BcN을 통해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구상이다. 새로 초고속인터넷 시장에 뛰어든 파워콤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정통부에 따르면 10월 한 달 동안 늘어난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8,367명인데 비해 파워콤은 총 2만8,822명의 가입자를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워콤의 유치 가입자 2만8,000여명 가운데 순증가입자 8,000여명을 뺀 수치가 파워콤이 다른 사업자들의 가입자를 뺏어 온 것이다. 특히 파워콤의 경우 10월 중 약 18일 간은 영업을 할 수 없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약진’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을 수 없다. 통신업계의 고위 관계자는 “통신사업이 성장능력 고갈위기에 처했다”며 “남들이 노리지 않는 분야로 전략적 이동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최근 분위기를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