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공무원 직무스트레스 소방·경찰 보다 훨씬 높다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소방·경찰직 공무원 보다 훨씬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최근 잇따른 사회복지 분야 공무원들의 자살이 구조적인 문제에 따른 것임을 입증한 것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결과는 수성대학교 사회복지과 백창환(사진) 교수팀이 ‘대구시 사회복지행정연구회’와 공동으로 진행한 ‘대구시 본청과 8개 구·군의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PTSD증상, 우울에 관한 실태조사’에서 나타났다. 조사는 대구시 및 구·군의 사회복지직 전체 공무원 703명 가운데 45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PTSD증상 조사에서 전체 조사 대상자의 51.9%가 완전 외상후 스트레스군으로 분류됐다. 이는 소방공무원(완전 스트레스장애 30.6%)와 경찰공무원(33.3%) 보다 월등히 높은 외상후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외상후 스트레스와 관련, 대구시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은 △업무수행중 민원인의 사무실 소란을 경험했다(93%) △심한 욕설을 들은 적 있다(92%) △직무 수행중 동료의 죽음이나 부상을 목격했다(82%) △민원인으로부터 협박받은 적 있다(75%) 등의 업무 관련 외상사건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우울에 대한 조사에서도 △우울하지 않았다(34.4%) △경미한 우울(19.4%) △중증도 우울(26.7%) △심각한 우울(19.4%)을 경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우리나라 주요 우울장애 평생유병률(심각한 우울) 6.7%보다 거의 3배나 높고 일반 행정직(8.7%) 보다도 2.2배나 높은 수치다. 특히 우울은 근무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의 사회복지 8급 직원들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특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백 교수는 밝혔다.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의 직무 스트레스는 남성이 71.5점, 여성이 72.9점으로 나타나 남·녀 모두 고위험군으로 조사됐다. 직무 스트레스 점수는 50점 이상이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백창환 교수는 “사회복지직 공무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증 조사는 전국에서 처음 실시됐으며 조사결과는 최근 잇따른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의 자살이 결코 우연이 아니었음을 입증한 만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