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네트워크] "건축폐기물 100% 재활용 시켜요"

상록환경 김광열 대표이사
국책연구소와 손잡고 신개념 재처리 공장 신설 내년 1월부터 본격 가동
연구원 도움으로 기술개발 다른 업체들에도 전수 폐기물 공해 발생 막을것

김광열(왼쪽) 상록환경 사장이 공장건축 현장에서 직원으로부터 공장건립과 관련된 설명을 듣고 있다.

국내 모든 건축폐기물 처리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자재 중 재활용되는 비율은 20%를 넘지 못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계다. 그 이유는 생산된 제품 중 극히 일부만이 도로건설 현장 등에서 기층자재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어 그 활용도가 지극히 낮기 때문이다. 경북 김천시 아포읍에 건축폐기물 재처리 공장을 신설하는 ㈜상록환경(대표이사 김광열ㆍ39)이 이러한 기존 개념을 깨트리고 처리한 폐자재를 100% 재활용 하는 자재를 생산할 예정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국 각 지역마다에 설치된 수많은 건축폐기물 처리공장에서는 생산된 폐자재의 재활용율이 낮아 이를 처리하는데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로 인해 업체들은 이를 처리하는데 상당한 비용을 지출해야만 한다. 상록환경은 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한 국책연구소와 손을 잡고 재활용이 가능한 폐자재 생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김 사장은 아직 제품이 생산되지 않은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밝히기를 거부하면서도 "특허기술인 내구성이 강하고 단열 효과가 아주 높은 건축용 벽돌 생산도 활용계획중의 한가지"라고 만 밝혔다. 또 "다양한 소재로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미 끝났으며, 내년1월부터 공장이 가동되면 이 분야에서 새로운 바람이 불 것"이라고 자신했다. 따라서 상록환경은 현재 한 국책연구소의 지도에 따라 설비를 갖추고 있다. 상록환경은 50여억원을 들여 5,000여평의 부지 위에 1,700㎡의 창고와 공장 건물을 준공하고 시설에 대해서는 보안유지를 위해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사장은 "벽돌생산은 이미 특허가 있어 공개할 수 있지만 나머지 분야는 아직 대외비를 유지해야 하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평소 건폐물 공장들이 처리할 곳을 찾지 못해 야적돼 있는 것을 보고 이를 처리할 방법을 연구하던 끝에 평소 친분 있는 연구원의 도움으로 이를 전량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며 "앞으로 여타 다른 업체들에게도 이 기술을 전수해 건폐물로 인한 공해가 발생치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또 "기술 경쟁 사회에서 누가 먼저 좋은 기술을 확보하느냐가 사업성공의 가장 중요한 관건인데 중소기업들도 대학이나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연구ㆍ개발 업무를 수행하면 좋은 결과가 올 것"이라며 "석학들의 두뇌를 산업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이 경쟁력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라고 충고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