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4월 14일] 미래준비 위한 구조조정 이뤄져야

다음달부터 진행될 대기업 구조조정이 관심을 끌고 있다. 경우에 따라 재계의 판도가 바뀌는 것은 물론 한국 산업의 국제경쟁력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ㆍ조선ㆍ해운업체에 대한 선제적 구조조정에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만큼 이번 대기업 구조조정은 확실히 마무리해 경제체질을 개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대기업 구조조정 작업은 이달 말 주채권은행이 45개 그룹의 부채비율ㆍ이자보상배율 등 신용위험평가를 마치고 불합격한 그룹을 중심으로 오는 5월 말까지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맺어 이행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국내 기업들의 경영상황이 악화되면서 앞으로 부실한 사업과 계열사를 정리해 재무구조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채권단이 지난해 9월 말 재무제표를 토대로 올 2월 약식평가를 했을 때는 5~6개 그룹이 불합격 판정을 받았으나 지난해 말 기준으로 다시 평가할 경우 불합격 그룹은 10개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실물경기 침체로 대기업들의 환율상승에 따른 외화부채 증가와 자금조달을 위한 회사채 발행이 급격히 늘어난 것이 주된 원인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상호출자제한기업으로 지정한 48개 기업의 지난해 말 부채비율은 119.9%로 전년보다 21.5%포인트나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무려 20조원이나 감소했다. 은행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이 체결되면 대기업들은 계열사 매각 등에 나서야 하고 채권단의 출자기업 지분매각 작업과 기업 인수합병(M&A)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한꺼번에 기업매물이 늘어나면 매각작업이 더 어려워져 구조조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조선ㆍ건설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봤듯이 채권단과 해당 기업들이 약정만 맺어놓고 이런저런 핑계로 구조조정을 게을리 할 수 있다. 일시적인 경기회복 조짐도 기업들의 구조조정 의지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단순한 부실정리뿐 아니라 미래준비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구조조정이 요구된다. 이번 위기가 끝나면 세계경제는 새로운 질서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기업의 체질 개선은 물론 국가경쟁력 제고의 튼튼한 발판을 마련한다는 관점에서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