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아지는 선박 교체주기… 조선사 훈풍불까

90년대 건조 선박 절반 해체… 신규 수요 늘어날 것 전망도

선박 교체주기가 짧아졌다. 올해 들어 전세계적으로 해체된 선박의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건조된 선박들도 절반가량 분해되고 있다. 친환경ㆍ고효율 선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조선업체들에는 신규 수요로 돌아올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도 제기된다.

1일 국제 해운·조선 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27일까지 선박 해체량은 총 3,020만DWT(재화총화물톤수)로 집계됐다. 이 중 1990년대에 건조된 선박 해체량(1,440만DWT)의 비중은 47.6%로 절반에 가깝다.

선박 해체량은 2005~2007년에 평균 600만DWT에 불과했으나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2008년에 1,400만DWT, 2009년에 3,300만DWT, 지난해에는 5,800만DWT까지 급증했다.

1990년대 건조 선박의 해체량 비중도 2010년 전체 선박 해체량 중 9.4%에 그쳤으나 2011년 15.5%, 2012년 31.5%으로 급증했고 올해는 2대 중 1대 가까이까지 치솟았다.

선박 교체주기의 단축은 한국 조선사들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경기가 살아나는 선진국들 위주로 선주와 선사들이 효율성 높은 선형(선박의 겉모양)을 선호하며 발주를 늘리고 있어 업황 회복시 기술경쟁력이 높은 한국 주요 조선사들이 수주 차별화를 보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