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 올바른 투자문화와 코스닥시장


올해 초 한 코스닥기업 대표는 트위터로 "정치 관련주라는 이유로 자사 주식을 사지 말라"는 당부의 말을 전했다.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두고 정치테마주로 증시가 들썩거리자 건전한 투자자들의 피해를 줄이고 싶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도 투자경고를 하며 테마주에 대해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금융당국은 교란행위를 방지하고 시장의 이상과열을 막기 위해 시장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건강한 코스닥시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필자는 깨끗한 코스닥시장을 위해 관리규제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금이 통할 길을 닦아주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테마주와 작전주들이 기승을 부리기 전에 기관투자가들이 코스닥에 투자할 수 있는 인프라구축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건전한 기관투자가들이 우량 기업에 투자를 하는 모습을 보이면 코스닥시장에 덧씌워졌던 투기와 부정이라는 오명도 벗을 수 있다.

사실 지난해 기관투자가의 관심을 유도하고 코스닥시장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코스닥전용펀드가 출시됐다. 이 펀드는 코스닥시장도 유가증권시장만큼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하지만 이 펀드 이후 기관투자가들의 무관심으로 또 다른 펀드가 설정되지 않아 안타까웠다.

이에 필자는 코스닥전용펀드에 대한 세제혜택 등과 일반 펀드가 새롭게 출시될 때 20%라도 코스닥시장에 의무적으로 투자하는 제도를 제안해본다. 이런 제도적 뒷받침은 코스닥시장에 기관투자가의 비율이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시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코스닥시장에 올바른 투자문화가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기업이 먼저 발벗고 나서야 한다. 횡령과 배임 행위를 없애고 활발한 기업설명(IR)활동으로 투자자들에게 기업을 잘 알려야 한다. 꾸준한 연구개발(R&D)투자로 핵심역량을 강화해 경쟁력을 키워야 장기투자를 확보할 수 있다.

무엇보다 기업은 고용과 사회공헌 활동을 통한 환원에도 앞장서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위한 노력은 투자자에게는 신뢰받는 기업, 소비자에게는 착한 기업으로 기억될 수 있는 길이다.

끝으로 올바른 투자문화를 조성하는 주체는 투자자이다. 한탕주의를 지양하고 가치주에 장기투자할 수 있는 인내를 가져야 한다. 직접투자보다는 간접투자, 단타보다는 장기투자, 올인보다는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는 말은 너무 많이 들어 이제 식상하기까지 하다.

모든 일이 그렇듯 혼자 잘나고 잘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다. 건강한 코스닥시장을 만드는 것 역시 마찬가지이다. 기업ㆍ금융당국ㆍ정부ㆍ투자자가 한 뜻으로 올바른 투자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할 때 가능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