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스타, 탈세 등 압박받자 서둘러 '낙점'

■ 외환은행 매각 우선협상자에 국민銀 선정
6월前 팔아야 세금 덜 내… 몸값보다 시간선택
국민銀 "동남아·제3세계 시장 진출 숙원 풀어"
'넘버2' 자리놓고 금융권 M&A 경쟁 더 거세질듯

엘리스 쇼트 론스타 부회장 입국 론스타의 2인자 엘리스 쇼트 부회장이 22일 오후 인천공항으로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외환은행 대주주인 론스타 펀드가 국민은행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것은 인수가격보다는 가장 빨리, 그리고 안전하게 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상대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은행 대형화 바람이 가속화하고 있는 마당에 국내에서도 덩치 면에서 국제경쟁을 할 수 있는 은행이 나오게 됐다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이다. 아울러 당분간 우리 뱅킹 시스템은 ‘빅4’에서 ‘빅3’로 전환하게 됐고 이에 하나금융그룹이 랭킹 4위를 벗어나기 위해 필사의 노력을 할 것으로 보인다. 론스타 측에서는 ‘매각규모’보다는 ‘매각시한’에 매달렸던 흔적이 역력하다. 국민은행이 하나금융그룹에 비해 여유자금이 풍부하고 조기에 매각자금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이 선택의 배경이라는 게 금융계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여기에다 검찰이 론스타에 대한 수사 강도를 높여가고 국세청 세무조사단이 외환은행 곳곳을 뒤지면서 압박해오자 론스타 측이 자금을 빨리 돌릴 수 있는 쪽을 선택했다는 것. 이 와중에 금융감독당국이 국민은행의 손을 들어주는 모양새를 취해 외환은행 노조와 시민단체 사이에서 관치 금융론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에서 조세회피지역에 과세할 수 있는 근거법이 논의되고 있는 터에 론스타 측으로서는 6월 입법화 시한 이전에 외환은행을 매각해야 세금을 덜 낼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국민은행과 하나지주ㆍDBS가 써낸 가격차이는 총 매매규모로 1,000억원대 안팎에 불과할 정도로 차이가 없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민은행은 지난 3월 초 지난해 은행 경영평가에서 2등급을 획득, 기존 자회사 투자한도를 자기자본의 15%로 늘릴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지난해 2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거둬 풍부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해놓고 있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으로 15조원에 육박하는 자기자본을 보유해 기존 자회사 투자한도를 제외하고도 4조원을 즉시 론스타 인수에 투입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여기에 1월까지 1조원에 달하는 후순위채를 만기 상환해 후순위채 발행을 통해 2~3일 만에 추가적인 투자한도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자금조달에 유리한 고지에 올랐다. 국민은행은 인수과정에 제휴할 국내외 금융기관단을 구성하지 않고 입찰에 응했다. 외환은행을 포함한 국민은행의 지난해 자산은 270조원으로 4월1일 통합되는 신한은행의 163조원과 우리은행의 140조원을 각각 100조원 이상의 차이로 따돌리게 된다. 또 3만명에 육박하는 임직원과 1,400개가 넘는 네트워크를 확보하면서 실질적으로 금융시장을 이끄는 ‘리딩 뱅크’로 부상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합을 계기로 본격적인 영업력 확장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신한은행과 네트워크 확충 경쟁을 선언한 우리은행의 추격을 따돌릴 수 있게 됐다. 국민은행은 그동안 약점이었던 기업금융과 해외영업 분야에서도 단숨에 1위권으로 도약하는 전기를 마련했다. 국민은행은 또 28개에 달하는 해외 네트워크를 한번에 확보함으로써 그동안 약점으로 지적됐던 ‘국내용’이라는 한계를 뛰어넘어 동남아 및 제3세계 시장 진출의 숙원을 이룰 수 있게 됐다. 강정원 국민은행장이 외환은행 인수를 추진하면서 “씨티은행이 한국에 진출했던 방식으로 베트남과 제3세계 국가 등에 진출하고 싶다”고 밝힌 것도 이 같은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 국민은행이 외환은행을 인수할 경우 랭킹 2위를 향한 금융권의 기업 인수합병(M&A) 경쟁은 치열해질 전망이다. 매각공고에 들어가는 LG카드 인수를 놓고 신한과 우리은행의 2위 경쟁에 하나지주가 참여하는 것이 불가피해졌을 뿐 아니라 앞으로 전개될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의 민영화 과정에서도 금융권 순위경쟁을 염두에 둔 샅바 싸움이 불가피하다는 게 금융권의 관측이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의 외환은행 인수과정 돌입은 4월1일 통합 신한은행의 출범과 매각작업에 돌입한 LG카드 문제와 맞물려 하반기 금융권의 지각변동을 이끄는 핵심 변수로 부상하게 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