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로제타 플랜' 여야, 대선공약 검토

문재인·안철수 후보도 공약
내년부터 추진 가능성 높아

새누리당이 공공기관 청년고용의무제인 이른바 한국판 로제타플랜을 대선공약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방만한 일자리를 줄이고 그 자리에 한시적으로라도 청년을 의무 고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당은 대통령이 정하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매년 정원의 3~5%를 신규 고용하도록 의무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해당 공공기관 명단을 공표하고 정부 업무평가에도 반영할 계획이다.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고용부담금을 부과하는 내용도 고민하고 있다.

정원의 3%를 기준으로 하면 매년 9,000여명의 신규 청년일자리가 생긴다는 것이 고용노동부의 추계다. 다만 새누리당은 일부 공공기관의 방만경영을 우려해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관에는 예외를 적용하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공공기관 정원의 3%를 청년일자리로 채우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강제조항이 없어 목표치의 절반 정도만 고용이 이뤄지고 있다.

로제타플랜은 벨기에에서 한때 신규 졸업자의 50%에 이르는 심각한 청년실업 사태가 발생하자 벨기에 정부가 극약처방으로 지난 2000년에 마련한 청년의무고용 법안이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안철수 무소속 후보도 비슷한 내용의 공약을 발표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도 관련법안을 검토 중이며 여야 간 이견이 적어 누가 대선에 승리하더라도 내년부터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