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군입대 공포증 없애는 동시에 군기강 확립하려면

젊은이들이 군대 가기가 두렵다고 한다. 자식을 군에 보낸 부모는 불면의 밤을 지새우고 입대 적령기 아들을 둔 어머니들은 걱정이 태산이다. 과거에도 입대를 반기지는 않았지만 28사단 윤 일병 폭행 사망사건 이후 입대와 군 생활에 대한 두려움은 '군대포비아(공포증)'라는 유행어를 낳을 만큼 심각하다.

정부가 병영생활에 대한 일대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를 믿는 국민은 많지 않다. 국방부 홈페이지에는 폐쇄적인 군대문화와 병영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토로하는 글이 평소보다 10배가량 늘어났다. 부모들의 면회신청도 급증했다. '혹시 내 아들이 가혹행위를 당하지 않았는지'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다.

건강한 젊은이라면 의무복무를 마쳐야 하는 국민개병제가 안보의 근간인 현실에서 이 정도까지 군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다는 사실은 안보위기에 다름 아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자칫 안보를 더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훈련과 경계근무를 줄이고 병사들에게 스마트폰을 지급한다는 방안이 혼란을 가중시킬 대표적 사안이다.

군이 본연의 임무를 소홀히 할 때 그 폐해는 고스란히 국민과 각 가정에 돌아가기 마련이다. 정부와 군은 떠나가는 국민들의 마음을 돌리고 설득해야 할 책무가 있다. 국민을 안심시키려면 투명성과 책임지는 자세가 동시에 요구된다. 사건이 터질 때마다 고질적으로 나오는 은폐와 축소 시도가 반복된다면 지휘관은 일시적으로 자리를 보전할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안보는 속으로 곪아 들어간다. 책임지지 않는 군 수뇌부와 기업이라면 망해도 떵떵거리고 사는 악덕 기업주가 무엇이 다른가. 사고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김관진 안보실장은 가혹행위 인지(認知) 의혹의 중심에 서 있거니와 최소한 도의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과감한 결단만이 군 혁신의지의 진정성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군에 대한 불신과 공포를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처방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