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남북정상회담 준비접촉 뭘 논의하나

회담의제·체류일정등 협의
절차 문제등은 1차회담 전례 따를 가능성
시일 촉박해 원만하게 의견 조율할지 의문

문재인(왼쪽) 대통령 비서실장이 10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제2차 남북 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남북 정상회담 청와대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정부가 13일 북한 개성에서 갖자고 북한 측에 제안한 제2차 남북정상회담 준비접촉의 논의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상회담의 절차문제를 협의할 남북간 준비접촉에서는 회담의제는 물론 대표단 규모와 구체적 체류일정, 왕래경로 및 절차, 선발대 파견 등 방북과 관련한 실무절차도 논의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오는 28일 시작될 정상회담까지 시일이 촉박해 남북 양측이 충분한 협의를 갖고 원만하게 의견을 조율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회담의제 설정 않고 포괄적 협의할 듯=남북이 준비접촉 과정에서 정상회담 의제를 합의서 형태로 도출해낼지, 아니면 묵시적 합의 형태에 그칠지는 접촉이 거듭되는 과정에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일단 남북은 1차 준비접촉에서 각자가 마련한 의제를 교환한 뒤 뒤이어 열릴 추가 접촉에서 본격적인 의제 조율을 할 것으로 짐작된다. 노무현 대통령은 정상회담이 발표된 지난 8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간 평화 문제, 군비통제, 경제협력 등 분야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준비하라”며 4가지 회담 의제를 제시했다. 따라서 우리 측은 준비접촉에서 이러한 4가지 분야에서 구체적인 의제들을 제시, 북측과 합의를 시도할 방침이다. 하지만 준비접촉에서 정상회담 의제가 확정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북한 체제 및 남북관계의 특수성으로 인해 미리 의제를 특정하지 않은 채 두 정상이 만나 허심탄회하게 ‘포괄적인 의제’를 논의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제1차 정상회담 당시에도 5차례 준비접촉을 가졌으나 구체적인 의제를 설정하지 못했다. 결국 임동원 당시 국가정보원장이 그 해 5월 말과 6월 초 두차례 방북해 대략적인 회담 의제를 조율했다. 이에 따라 이번에도 특사 방북을 통해 의제 조율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10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서 “의제 논의를 위해 또 다른 특사가 필요하지는 않으며 회담 이전에 여러 통로를 통해 의제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절차문제는 1차 회담 사례 준용 가능성=준비접촉에서는 의제 설정과 함께 대표단 규모와 구체적 체류일정, 왕래경로 및 절차, 선발대 파견 등 방북과 관련한 실무절차도 논의된다. 절차 문제 등은 제1차 정상회담 준비접촉의 전례를 준용할 수 있어 양측이 쉽게 합의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북은 2000년 1차 회담 때 ▦대표단 구성은 수행원 130명과 취재기자 50명으로 하고 ▦회담형식과 횟수는 상봉과 회담을 최소한 2∼3회 실시하되 필요시 추가하며 ▦선발대는 방문 12일 전에 30명을 파견하되 판문점을 통해 왕래하도록 합의했다. 다만 이번의 경우 1차 때와는 달리 남은 시간이 적다는 점 등에서 대표단 규모와 선발대 파견시점 등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이번 준비접촉에서 관심을 끄는 대목은 남측대표단의 왕래경로와 절차 문제다. 정부는 준비접촉에서 남측대표단의 육로를 이용한 방북을 요청할 계획이어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