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종로타워 빌딩에 위치한 삼성증권 본사에 대해 기습적으로 압수수색을 실시한 검찰 수사관들이 증거자료가 담긴 상자를 들고 나오고 있다. /류효진기자 |
|
검찰이 30일 오전 삼성증권에 대한 압수수색을 한 데 이어 오후에는 과천에 있는 삼성SDS e데이터센터와 수서에 위치한 삼성증권 전산센터도 압수수색에 나서면서 그 불똥이 어디까지 튈지를 놓고 비자금 의혹과 관련된 삼성 전계열사가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앞으로의 수사과정에서 삼성 본관을 비롯해 그동안 비자금 조성, 경영권 승계 의혹 과정 등과 관련해 거론된 계열사들도 언제 닥칠지 모르는 압수수색을 놓고 검찰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모습이다.
◇검찰, 왜 삼성증권을 첫 대상으로 했나=검찰은 예상을 깨고 삼성증권을 첫 압수수색 대상으로 선택했다. 검찰이 삼성증권을 삼성 계열사 가운데 최초로 압수수색 대상으로 정한 것은 그룹 내 핵심 금융 계열사라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삼성그룹은 은행을 소유하고 있지 않지만 대신 삼성생명ㆍ삼성증권ㆍ삼성화재ㆍ삼성카드ㆍ삼성선물ㆍ삼성투신 등 ‘제2금융권’의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검찰은 삼성그룹의 계열사 중에 삼성증권이 각종 계좌를 통해 그룹 자금을 합법적으로 운용하면서 그룹 내의 ‘비자금 관리’에 있어 주요 역할을 한 금융 계열사라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다.
삼성그룹은 비자금 의혹과 관련, 김용철 변호사의 차명계좌는 회사와는 무관하고 순수한 주식거래용 계좌, 주식매각대금 관리 계좌 등이라고 밝힌 적이 있는 만큼 검찰은 삼성 측이 주식거래를 가장해 비자금을 조성ㆍ관리해왔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실시했을 수도 있다.
◇추가 압수수색 어디까지 이어질까=검찰의 이번 압수수색은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삼성증권과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이날 오후 곧바로 추가 압수수색에 들어간 것도 이를 증명한다.
김수남 특별수사ㆍ감찰본부 차장검사는 “오전에 압수수색한 삼성증권의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삼성SDS e데이터센터와 삼성증권 전자센터에 대해 추가 압수수색을 했다”며 “하지만 삼성SDS에 대해 압수수색을 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검찰이 추가 압수수색에 나설 경우 다음 대상이 어디가 될지 관심거리다.
일단 김 변호사가 기자회견이나 인터뷰를 통해 비자금 조성과 관련해 해외 거래를 통해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폭로한 삼성SDI(옛 삼성전관)와 삼성물산이 다음 압수수색 검토 대상으로 유력하게 꼽히고 있다. 또한 ‘경영권 승계 의혹’에서 언급된 삼성에버랜드, ‘분식회계’와 관련된 삼성중공업ㆍ삼성항공 등도 추가 압수수색 대상이다.
하지만 검찰의 칼날이 김 변호사가 삼성 비자금이 모이는 비밀금고가 위치했다고 밝힌 삼성 태평로 본관 27층을 직접 겨눌지가 무엇보다 관심을 모은다.
삼성이 실제 비자금을 조성해 관리했는지를 확인하려면 이곳을 압수수색해야 한다는 게 고발인 측의 주장이다. 특히 삼성그룹이 증거인멸 차원에서 곳곳에서 자료를 폐기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 검찰의 삼성 본관 등에 대한 추가 압수수색은 시간 문제라는 지적이다.
한편 김 차장검사는 “다른 계열사 압수수색은 없냐”는 질문에 “그렇게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해 앞으로 타 계열사로의 확대 가능성을 열어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