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슈룽 칭화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14일 “한국은 중국을 미래의 안보위협으로 생각하지만 중국은 한국을 안보위협으로 상정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한중관계가 진정한 프랜드쉽을 가지는 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 날 아산정책연구원 베이징 파트 하얏트호텔에서 개최한 ‘아산 베이징포럼 2013’에 참석한 추 교수는 “한국과 중국이 역사ㆍ국방ㆍ문화 등 민감한 분야에 더 개방적인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기조발제에 나선 친야칭 중국외교학원 상무부원장은 “북한의 핵문제는 어떤 한 국가(북한)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정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학자인 친 부원장은 “중국은 왜 '북핵문제'를 '한반도 핵문제'로 이야기하는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하며 ”우리가 (북한의) 비핵화를 원하는 것은 (북핵이)지역의 이슈이기 때문이고 이 지역의 안보 불안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친 부원장의 이 같은 말은 북핵문제를 북한의 체제안전보장 등과 연관 지으며 '북한 비핵화' 대신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을 고수하는 중국 정부의 시각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친 부원장은 6자회담이 서둘러 진행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서는) 6자회담을 빨리 시작해야 한다“며 ”6자회담은 비핵화의 중요한 메커니즘“이라고 설명했다.
아산정책연구원 명예이사장이기도 한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도 북한의 비핵화를 거듭 강조했다. 정 의원은 환영사에서 “중국의 북핵문제에 대한 의지표명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가하며 “북핵문제는 핵을 폐기하든지 아니면 용인하든지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지 중간지대는 없다"고 강조했다.
한중수교 20주년을 맞아 한중관계, 북핵문제, 미중관계, 동아시아 문제 등을 탐색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포럼에는 천영우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청샤오허 인민대학 교수, 조너선 폴락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연구원, 스콧 스나이더 아시아재단 한미정책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