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최근 짤막한 보도자료를 냈다.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핵심인 ‘송도 신도시’의 명칭을 ‘송도 국제도시’로 고쳐 부르기로 한다는 내용이었다. 인천경제청은 개명(改名) 이유에 대해 “최근 IFEZ 프로젝트를 아파트 개발 또는 신도시 조성사업 정도로 바라보는 일부의 오해를 바로잡고 ‘외국기업 유치 또는 국제도시 조성사업’이라는 IFEZ 출범의 참뜻을 부각시키기 위해 내려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당이나 일산ㆍ판교를 만드는 신도시 프로젝트가 아니고 홍콩ㆍ싱가포르를 능가하는 21세기형 첨단 국제 비즈니스 도시를 조성하는 국책사업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인천경제청도 인정했듯이 21세기형 국제 비즈니스 도시가 평범한 신도시로 전락하는 게 아닌지 우려하고 고민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 실현 등 거창한 대의명분을 내걸고 시작된 지 2년이 다됐지만 ‘국제용’이 아닌 ‘국내용’에 머물고 있는 게 사실이다.
외자유치는 지난 2003년 미국 부동산 전문 개발회사인 게일사가 매입한 국제컨벤션센터 부지 10만평에 대한 땅값 5,500만달러가 입금된 것과 GM대우가 청라 지구에 유치한 5,000만달러의 자동차 성능시험장, 1,500억원 규모의 글로벌 신약회사인 셀트리온 공장 유치가 고작이다.
특구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해 없이 그럴 듯한 외형만 갖춰놓으면 외국 기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 발상 이 문제라는 비판도 쏟아지고 있다.
외국 업체들에는 상당한 금융세제 혜택을 주면서도 국내 기업에는 전혀 주지않는 역차별이 오히려 외자유치를 막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경제특구 추진 주체를 지방자치단체 산하에 둔 것도 추진력에 한계를 주고 있다는 지적도 공감을 사고 있다.
동북아시아 경제 통합이 가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동북아 허브 전략은 우리나라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어정쩡한 자세로 어떻게 세계의 관심과 고객을 끌어모을 수 있을지 먹구름이 점점 더 커지는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