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기피현상

세계 각국은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새로운 세계무역체제를 맞아 우수 인력 양성과 확보 경쟁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치열한 세계경쟁에서 인적자원, 특히 우수 기술인력의 확보 여부가 생존과 승패를 결정한다는 인식 하에 앞 다투어 많은 투자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심각한 사회 이슈로 제기되고 있는 이공계 기피현상도 이러한 이유에 기인한다. 이공계기피 현상의 근거로 흔히 제시되는 자료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자연계 응시비율로, 97년 43.3%이던 것이 02년 26.9%로 급격히 낮아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연계 대학생의 비율은 95년 44%에서 02년 42.9%로 거의 변화가 없다. 이는 98학년도부터 대학생선발에 교차지원제도가 도입되어 자연계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쉬운 인문계에 응시한 후, 진학 시는 자연계를 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교차지원제의 축소에 따라 응시 비율이 03년 30.3%, 04년 31.5%로 증가하고 있어 점차 사라지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이공계 대학생 비율이 30%이내인 점을 감안하면 학생 비율 자체로는 큰 문제가 없다. 우리에게 심각한 문제는 우수 학생들이 이공계를 기피하고 의대 등으로 진학한다는데 있다. 졸업 후 취업 등의 진로가 불투명하고 사회적으로도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외환위기 당시 많은 기업들이 일차적으로 연구인력을 감원 조치한 것과 최근의 청년실업자의 증가 등이 이러한 기피현상을 가속시키고 있다. 정부는 우수 이공계 인력 양성을 위해 이공계출신 공직임용 확대와 인사에 있어서 우대, 병역 혜택, 장학금 확대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만으로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 국민소득 2만불 달성을 위한 10대 성장 동력 산업의 성공적 추진과 중국 기술의 급격한 신장을 감안할 때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유능한 이공계 인력이 단순한 기술자로써 생산과 연구 현장에서 뿐만이 아니라, 기업과 사회의 최고 지도층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부터 고용과 경력관리까지 전 과정에 걸친 검토가 필요하다. 단순히 이공계 학생의 숫자 늘리기가 아닌 우수 기술인력의 양성과 효과적 활용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서범석 교육부 차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