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부실 도미노' 선제 대응 의지

"저축은행이 무너지면 1금융권에도 악영향" 인식
인수 통해 새 수익원 창출 서민금융 활성화 복안도


금융권이 저축은행 문제 해결에 나선 데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대출 문제가 자칫 전체 금융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게다가 저축은행 경영정상화를 위해 선제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하겠다는 금융당국의 의지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저축은행 부실여파 우려=5일 범금융권 신년인사회에서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약속이나 한 듯 저축은행 지원을 언급했다. 류시열 신한금융지주 회장도 이날 ‘괜찮은 부실 저축은행이 있으면 (인수를) 검토해보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지주는 “저축은행 문제가 국내 금융시장 안정에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는 상황에 대해 KB금융그룹도 책임감을 갖고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거들었다. 금융권의 이 같은 움직임은 정부의 부실채권 매입에도 불구하고 일부 저축은행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더 이상 팔짱만 끼고 있을 수 없다는 판단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저축은행 부실의 파급효과가 금융권 전체를 뒤흔들 수 있는 만큼 하루빨리 저축은행 안정화에 나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이날 이 회장의 저축은행 인수 발언 이면에도 ‘저축은행이 안정되지 않으면 1금융권에도 파급이 올 수 있다’는 인식이 담겨 있다. 아울러 금융지주들은 저축은행 인수를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서민금융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복안도 내비치기도 했다. 이 회장은 “저축은행을 잘 지원하면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다”고 밝히며 저축은행을 새로운 수익창출원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도를 나타냈다. 김장호 금융감독원 중소서민금융업서비스본부장은 이와 관련해 “은행이 자회사와 연계해 서민금융을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 모형을 세우면 서민금융 대상을 확대할 수 있고 사회적인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 당국도 신속 대응 방침=금융 당국도 저축은행 경영정상화를 위해 신속하게 대응할 방침을 시사했다. 부동산 시장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부실이 심각한 대형 저축은행의 경영지표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특히 정부가 지난 2008년 말과 지난해 6월 수조원의 자금을 투입해 저축은행 PF 부실채권을 매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의 어려움이 여전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 금융 당국의 권고도 힘을 발휘한 모양새다. 당국의 한 핵심관계자는 시중은행의 저축은행 인수를 “검토하고 있으며 은행권에서 좀 부담해달라는 것”이라고 언급함으로써 은행을 통한 구조조정 방침을 밝혔다. 이날 금융지주 회장들의 저축은행 지원 발언을 감안할 때 정부가 금융권과 이미 교감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또 당초 올해 2ㆍ4분기에 시행될 것으로 예상됐던 저축은행 경영정상화를 위한 대책은 1ㆍ4분기에 나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들의 (반기) 결산이 12월이기 때문에 오는 2월께 인수합병(M&A)의 구체적인 그림이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 당국이 은행을 통한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인수 은행에 제시할 조건과 인센티브도 관심을 끌고 있다. 우리금융의 경우 정부가 저축은행의 순자산부족분을 보전해주는 전제 아래 저축은행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금융 당국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인수 은행에 어떤 인센티브를 줄 것인지 검토하고 있으나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M&A 건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구조조정 가속화 기대”=저축은행 업계는 시중은행의 부실 저축은행 인수추진 방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시중은행들이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하면 구조조정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또 시중은행이 저축은행업에 진출하면 신뢰도를 높이고 고객의 불안감도 덜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일부 저축은행은 구조조정이 빨리 끝나야 제대로 영업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은행이 부실 저축은행을 사주면 구조조정이 빨라질 수 있다”며 “세금을 투입하는 것보다 나은 방향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저축은행은 시중은행의 저축은행업 진출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과거 은행들도 저축은행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외환위기 때 모두 문을 닫았던 경험 때문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또 다른 한 관계자는 “은행에서 퇴직자들을 저축은행에 보내는 등 책임경영이 제대로 되지 않아 외환위기의 파고를 넘지 못했다”며 “이번에는 제대로 경영할지 걱정”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