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160석·민주 80석 안팎 얻을듯

지역구, 與 130여곳·민주는 35곳 우세
각당 "막판 부동표 잡자" 격전지 유세 총력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이 4ㆍ9총선에서 각각 160석과 80석 안팎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7일 막판 부동표를 잡기 위해 격전지 지원유세와 지지층 결집에 총력을 기울였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와 당 자체 분석 등을 종합하면 한나라당은 지역구 130곳 안팎에서 승세를 굳혔다. 비례대표 25~30석을 감안하면 160석에 가까운 과반 의석 확보는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내심 모든 국회상임위원회에서 과반수를 차지할 수 있는 ‘절대 과반수’, 즉 168석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한나라당은 1~2위 간 지지율 격차가 3%포인트 이내라고 자체 판단한 20~30곳을 초접전지로 보고 당력을 집중했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경합지역 분위기가 우호적으로 흐르고 있다”며 “160석+α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70~80석을 확보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선숙 총선기획단 부단장은 “지역구에서 확실한 곳은 35석 정도며 초경합지역은 50여곳”이라고 분석했다. 초경합지역 중 사실상 민주당이 우세한 지역 20여곳을 감안하고 비례대표 의석 15석 정도를 포함하면 민주당은 70~80석을 얻을 가능성이 크다. 당초 목표였던 개헌 저지선(100석)에는 크게 모자라 민주당으로서는 고민이다. 이에 따라 양당은 격전지에 대한 집중 지원에 나섰다. 민주당은 강금실 공동 선거대책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를 서울 강서갑, 도봉갑ㆍ을, 성동갑ㆍ을 등 서울 지역 접전지에 투입해 지원유세를 벌이는 한편 정세균 공동 선대위원장을 충남으로 보내 선거전을 독려했다. 한나라당은 강재섭 대표 등 지도부가 충남 천안에서 선거대책회의를 열었다. 천안갑ㆍ을 지역 모두 초경합지역으로 분류된 곳이다. 강 대표는 이어 경기 수원권선, 군포 산본, 안산 단원을ㆍ상록갑, 광명갑 지역구 등을 돌며 한나라당 후보를 지원했다. 자유선진당은 충청권을 중심으로 7~10석가량을 얻을 것으로 예상돼 비례대표를 포함해도 당초 목표인 원내 교섭단체 구성 요건(20석)이 어려운 상태다. 이회창 총재는 오전 부산 일정을 시작으로 오후에는 대전 지역을 돌며 ‘텃밭’ 다지기에 총력을 쏟았다. 이 밖에 민주노동당은 권영길(창원을) 후보 외에 당선 가능권 후보가 드러나지 않고 있어 비례대표를 포함하더라도 5석 안팎의 부진이 예상된다. 대신 영남권의 ‘한나라당 탈당파’를 중심으로 한 무소속 후보들이 선전하고 친박연대의 정당 득표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