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도 좋지만 '포스트 브릭스' 를 주목하라

■ 월가가 보는 '2013 이머징 마켓'
고성장·외환보유액 탄탄·저평가 국채 매력
터키·태국·필리핀 등 올해도 높은 수익 기대


새해를 맞아 월가에서는 나오는 이머징 마켓에 대한 전망을 한 줄로 요약하면 '브릭스(BRICs) 대신 비 브릭스(Non BRICs) 국가를 주목하라'이다.

이머징 마켓은 지난해에도 비교적 좋은 수익률을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안겨주었다. 21개 이머징 시장의 주가지표를 추종하는 MSCI 이머징 마켓 인덱스 지수는 지난해 15% 상승했다. 이는 미국의 S&P 500지수의 상승률 13%를 2%포인트 웃도는 것이다. 당초 중국 경기 경착륙 우려, 선진국의 수요 감소로 이머징 국가들의 수출 둔화 등에 대한 우려가 컸던 한 해였던 점에 비춰 선전했다는 평가다. 하지만, 국가별로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 추세는 올해도 계속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브릭스 국가 중에서는 인도가 가장 높은 26% 상승한 데 이어, 러시아가 11% 올랐다. 남미의 맹주는 브라질은 7.4% 오르는 데 그쳤고, 중국은 이보다도 낮은 3.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브릭스에 속하지 않는 터키, 태국, 필리핀 등은 각각 52.6%, 33%, 33%의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MSCI지수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환율도 민감한 변수로 작용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주가는 14% 올랐지만, 자국 화폐인 루피가 약세를 보이면서 외국인투자자들의 수익률은 절반에 그쳤다. 반면, 한국의 경우 주가는 9.4% 오르는 데 그쳤지만, 환율이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로 환산한 수익률은 17%에 달했다.아드리안 모왓 JP모건 홍콩의 스트레티지스트는 "원화강세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며 "정상적인 수준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도 이머징 마켓의 성장세는 선진국 시장에 비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마크 모비우스 탬플턴 자산운용회장은 최근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이머징 마켓 투자의 매력이 높았던 것은 전반적으로 빠른 경제성장률,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외환보유액, 선진국에 비해 튼튼한 국가재정 등이었으며, 이 같은 매력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머징 주식시장은 여전히 매력적으로 저평가돼 있다"며 "이머징 주식시장 12개월 주가수익비율(PER)은 10배인 데 비해 MSCI세계 지수는 12배"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머징 마켓 수익률은 각국의 경제성장 등의 여건에 따라 수익률 격차가 클 것이라는 관측이다. 스콧 클리모 새터나 캐피탈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상당히 괜찮은 자산구성을 할 수 있는 이머징 국가들은 여럿이 있지만, 이 그룹들이 동질적이지는 않다"며 "개발의 정도, 경제성장의 동력, 투자기회 등이 다 달라 수익률도 큰 차이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에 이어 브릭스보다는 비 브릭스 국가의 수익률이 더 높을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보스턴대에서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강의하는 마크 윌리암스 교수는 "브릭스 국가에 대한 투자는 떠 안은 리스크에 비해 썩 좋은 편은 아니다"며 "비 브릭스 국가에서 훨씬 더 기회가 많았으며, 이 추세는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머징국가들의 국채도 글로벌 투자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인기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선진국들의 초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조금이라도 더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이머징 국가들의 국채로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머징 국가의 채권발행규모는 800억달러에 달했다. 이머징 마켓의 국채를 추종하는 JP모건의 EMBI+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해 이머징 국가의 국채 수익률은 18%에 달했다. 이는 바클레이즈가 측정한 미국 국채 투자수익률 4%를 4배 이상 웃도는 것이다.

이 같은 붐에 힘입어 몽고, 잠비아, 볼리비아 등은 처음으로 국채를 해외에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발행하기도 했다. 지난 2009년 IMF의 구제금융을 받았던 몽고의 경우,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5.12%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 같은 금리 수준 자체만으로 이머징 국가의 금리가 낮다고는 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앤드레 고브 바클레이즈 이머징 마켓 크레딧 스트레티지스트는 "이머징 국가 사이의 금리격차가 있긴 하지만, 미국 국채와의 평균 금리 격차는 지난 2007년에 비해 1% 포인트 이상 높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