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드시 성과 이끌어내야 할 3자 회담

청와대가 3자 회담을 전격 제안했고 민주당이 하루 만에 받아들였다. 잘한 일이다. 모두 조금씩 양보해 회담을 성사시켰다. 회담의 진행과 마무리까지 서로를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렇게 못한다면 회담은 단순히 만나기 위한 만남, 정치 실종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명분 축적용 이벤트에 그칠 가능성이 없지 않다.

무엇을 상대에게 내줘야 할까. 청와대는 야당이 장외투쟁을 접고 원내로 들어올 수 있는 명분을 줘야 한다. 마침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원 사건에 대한 포괄적인 유감을 표명하기로 했다는 소리가 들린다. 다행이다. 여기에 국정원 개혁에 대한 의지를 보다 설득력 있게 밝힌다면 더할 나위가 없겠다.

민주당도 이에 화답할 수 있는 소신과 용기를 보여야 한다. 지나친 사과 요구나 직접적인 문책 인사를 고집한다면 민심도, 명분도 동시에 잃을 수 있다. 새누리당 역시 정치재개에 막중한 책임이 있다. 국정원 사건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정치 어젠다를 선점했다는 데 만족할 게 아니라 마녀사냥식 종북몰이 분위기를 앞장서 막아내고 민생 이슈에 대한 정치권의 합의를 이끌어낸다면 집권여당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과연 정치권이 이런 자세로 회담에 임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점이다. 야당에 일방통행식으로 회담을 제안한 것이나 마지못해 응하는 모습의 연장선이라면 3자 회담이든, 회동이든 형식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대통령은 국회를 방문해 해외순방 결과를 설명하며 야당에 협조를 구하고 야당은 요구사항을 늘어놓는 평행선도 예상된다. 이런 경우라면 회담은 안 하느니만 못하는 결과를 낳을 것도 불 보듯 뻔하다.

만약 3자 회담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게 된다면 모두에게 불행이 아닐 수 없다. 국민은 물론이고 청와대와 여야는 책임론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정치는 명분의 싸움이라지만 이와 동시에 조화의 예술이다. 청와대와 여야는 상대방을 존중하는 가운데 상호 이해와 합의를 도출해내야 한다. 꼬인 정국이 제대로 풀리고 산적한 민생 문제와 경제 현안을 국회에서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냐, 아니면 정치갈등과 사회적 대립이 깊어질 것이냐가 오는 16일 3자 회담에 달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