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섬' 개발 본격화

해양부, 해상물류기지·소각장 활용해상물류기지와 활주로, 소각장 등 다양한 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떠있는 인공섬' 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해양수산부는 연안공간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초대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인 '떠있는 인공섬'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고 3일 밝혔다. 평탄한 강재구조물로 수백만평까지 조성이 가능한 인공섬은 항상 해상에 떠 있게 돼 해수순환이 자유롭고, 이동 및 재활용이 용이한 환경친화적 해양공간이다. 인공섬에는 해상물류기지와 해상공원, 해양엑스포 전시공간 등 항만유통 및 레저관광 시설은 물론 활주로와 소각장, 석유ㆍ가스기지 등 육상에서 기피하는 시설도 들어설 수 있게 된다. 일본의 경우 도쿄만에 중형 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한 길이 1㎞ 규모의 해상활주로를 지난 99년 건설한 바 있다. 해양부는 올해안에 공통기반기술을 확보한 뒤 오는 2007년까지 인공섬 설계ㆍ건조ㆍ시공기술을 개발해 실용화하고, 2010년께 해양엑스포 전시공간 등의 조성방안을 적극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떠있는 인공섬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에는 약 60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해양부 관계자는 "인공섬 조성사업이 실현되면 수백만톤의 철강수요가 유발되는 등 관련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도시기능과 자연생태계가 공존하는 쾌적한 해양공간 문화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종열기자 yjyun@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