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産) 철강재에 대한 반덤핑·세이프가드 등 수입규제 조치가 11월 현재 전세계 16개국 59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철강수요는 둔화하는 반면 한중일 동북아 3국을 중심으로 공급물량이 넘쳐나면서 주요 철강 수입 국가들이 '무역장벽' 쌓기에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각국의 수입규제에 선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와 장윤석 새누리당 의원은 28일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철강은 국력! 지속 가능한 철강산업 발전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최근 국산 철강에 대한 수입규제는 동남아·브라질 등 신흥국 중심에서 미국·유럽연합(EU) 등 선진국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지난 7월 미국은 원유 채취 등에 사용되는 한국산 유정용강관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를 확정한 데 이어 10월 송유관에 대해서도 반덤핑 제소에 나섰고, EU 역시 8월 국산 전기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최태현 산업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수입규제는 각국의 국내법에 따라 이뤄지므로 사후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제소 움직임을 조기 포착해 피소를 방지하는 방안이 최선"이라고 설명했다.
철강업체들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 철강산업의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면 자칫 저성장이 고착화될 수 있다"며 "기업은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정부는 과감한 규제 완화 및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투자 활성화를 도와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