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서거는 당분간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강한 후폭풍을 몰고 올 곳이다. 더욱이 회복 모드가 주춤해지고 있는 경제 부분에선 '불확실성의 리스크'라는 또 하나의 부정적 요인이 발생했다고 할 수 있다.
정부 역시 가장 우려하는 게 정치와 사회의 분열이다. 경제위기를 극복할 추동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국민화합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국민화합'을 위한 청와대와 정부ㆍ여당의 역할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이유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가 당장 환율이나 주식 등 금융지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은 우세하지만, 주초부터 어떤 영향을 미칠 지는 미지수다. 전직 대통령의 자살은 사상 초유의 일인데다, '정치 후진성' 리스크가 강하게 부상하면 외국인 투자자의 평가도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환율이나 주식시장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정부 역시 이 같은 점을 의식, 해외 언론과 외국인 투자자 등의 반응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주초부터의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다.
노 전 대통령의 추모정국으로 인해 이번주의 모든 정치, 경제 관련 일정이 불투명 한 가운데, 그나마 주목할 발표 중 하나가 통계청이 29일 내 놓을 '4월 산업활동 동향'이다. 3월의 경우 동행지수가 14개월만 상승했고, 선행지수도 3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경기의 회복가능성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일부 기관의 분석에 힘이 실리게 된 계기가 됐다. 여기에 광공업생산도 지난해 3월에 비해서는 10.6%가 감소했지만, 감소폭이 가장 컸던 1월(-25.5%)에 비해 크게 둔화되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희망의 빛을 비추기도 했다. 4월 역시 경기 선행ㆍ동행지수가 상승하고, 광공업생산과 투자증가율의 감소세가 둔화될 경우 경기 저점에 대한 희망을 커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한국은행은 28일 4월 국제수지 동향을 발표한다. 3월 66억5,500만 달러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해 두 달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국제수지는 4월에도 흑자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