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국회 문화관광체육방송통신특별위원회에서 통신망 임대사업(MVNO)을 가능케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빠르면 내년 6월부터 제4 이동통신사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업계에서는 통신망 임대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질 경우 기존에 비해 최대 30% 가량 요금이 저렴하게 책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임대 사업자가 음성에만 올인, 기존사업자와 대립 구도를 형성할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며 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것을 당부했다. ◇제4 이통사 후보군 어디로 뛰나= 현재 통신망 임대사업자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는 곳은 크게 케이블TV업계와 온세텔레콤을 포함한 중소사업자, 그리고 카드사 등 금융, 유통, 자동차, 증권사 등 비통신업체 등 크게 3분류로 구분된다. 이중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곳은 케이블TV업계. 케이블TV업계는 MVNO제도가본격적으로 시행되는 내년 하반기에는 기존의 케이블방송과 초고속인터넷, 인터넷전화 등을 이통 상품과 묶어 4중결합상품(QPS)나 3중결합상품(TPS)를 강화, 방송통신시장에서 통신사업자들과 본격적으로 자웅을 겨루겠다는 전략이다. 반면 온세텔레콤은 일반 소비자를 놓고 기존 이통사와 직접 맞붙기 보다는 틈새시장을 노린다는 계산이다. 온세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메이저 통신사들과 일반 소비자를 놓고 직접 경쟁할 생각은 없다"며 "종교나 학원 등 특화시장을 겨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보문고ㆍ인터파크 등 전자책 관련업체들과 BC카드와 현대자동차 등도 이미 확보된 고객층을 대상으로 데이터 중심의 사업을 펼치겠다는 구상이다. ◇휴대폰 요금 더 싸진다= 통신망 임대사업의 핵심은 통신 요금을 얼마나 더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방통위와 통신업계 안팎에서는 통신망 임대를 통해 새 이통사가 설립되면 약 20-30% 가량의 요금 인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는 특히 MVNO가 그동안 방통위가 내걸었던 통신요금 인하 방안의 핵심 방안이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정부에서 사전 도매대가를 산정할 때 MVNO시장 활성화를 위해 예상보다 낮은 수준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방통위의 한 관계자는 "일본의 경우 MVNO사업자가 약 20%, 미국은 약 7%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는 많이 늦었다'고 말해 활성화를 위한 대안 마련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이렇게 될 경우 통신요금은 당초 기대했던 것 보다 훨씬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방통위 주변의 평가다. ◇음성만으론 한계… 특화 모델 갖춰야= 하지만 방통위나 업계 모두 MVNO사업자가 음성 하나만으로 '올인'할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음성 올인' 보다는 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고 데이터 서비스를 함께 진행해야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외국의 경우 초기에 MVNO가 음성만으로 했다가 모두 실패하고 결국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사업자만 살아남았다"며 "음성만으로 할게 아니라 데이터와의 결합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