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장 선임을 앞두고 금융계가 최대주주인 정부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90% 이상의 지분을 가진 정부가 은행장 선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것인지, 지난 2월 외환은행장 선임때처럼 입을 다물고 있을 것인지가 조흥은행장 인선의 최대 관건이다.
1일 금융감독위원회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 『이번에도 외환은행장 인선때와 마찬가지로 신호를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위는 외환은행장 선임 당시 내심으론 오호근 기업구조조정위원장을 밀면서도, 비상임이사회가 추천한 이갑현 행장(당시 종합기획담당 상무)의 승진을 묵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공은 전적으로 비상임이사회로 넘어간다. 안충영 중앙대 교수 등 6명으로 구성된 조흥은행 비상임이사회는 최근들어 수시로 비공개 모임을 갖고 행장 후보를 물색하는 중이다.
반면 조흥 노조와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 등은 정부의 인사권 행사를 이미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금융노련은 지난달 31일 「조흥은행에 대한 정부의 낙하산식 관치인사」를 규탄했으며, 조흥 노조도 정부에 대해 「은행장 인사에 개입하지 않겠다던 약속을 지켜라」고 촉구하면서, 「조흥은행 출신 행장」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인사권 행사에 대해선 은행 내부에서조차 의견이 분분하다. 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최대 주주로서 은행장 선임에 의견을 내놓는 것은 당연하다』며 『인사권을 행사해야 할 곳에서 가만히 있으면 엉뚱한 곳에서 압력을 받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어차피 외압을 피할수 없다면, 차라리 금융계 사정을 아는 금감위나 재경부의 「정당한 관치금융」을 받는 것이 낫다는 얘기.
정부 입장에서는 조흥은행장 인선이 충북의 지역정서 등 정치적인 정황과 맞물려 상당한 부담이 되는게 사실이다. 때문에 정부가 두고두고 「관치금융」의 구설수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직접적인 개입을 피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현재 강력하게 거론되는 후보들이 모두 한두가지씩 장애를 안고 있다는 점도 정부의 섣부른 간섭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은행내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는 이강륭(李康隆) 현 행장대행은 이헌재(李憲宰) 금감위원장과 막역한 사이라는 점이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케이스. 배찬병(裴贊柄) 전 상업은행장도 부실은행을 합병시키고 퇴진했다는 점과 노조의 반발 등이 부담. 특히 자민련이 측면지원하는 걸로 알려진 게 강점인 동시에 약점.
위성복(魏聖復) 전 조흥은행장은 문책에 의한 강제 퇴진형식은 아니었지만 합병시한을 지키지 못해 물러났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魏 전 행장과 신인식 상은리스 사장은 모두 대표적인 호남권 인물로, 호남출신 은행장이 한 명도 없는 점을 감안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한편 비상임이사회는 개혁성과 상업마인드·리더십·국제감각 등을 기준으로 후보 인선에 나섰으나, 공식 발표 이전에는 은행장 추천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비공개로 진행시키겠다는 입장이다. /신경립 기자 KLSIN@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