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 용어부터 바로 잡자"

경제민주화→경제적 평등 추구 복지투자→복지지출…
한경연 토론회

'경제민주화'는 '경제적 평등의 추구', '복지 투자'는 '복지 지출' 또는 '복지재원 투입'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존 용어들이 의미를 왜곡시켜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6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 소회의실에서 '바른 용어를 통한 사회통합의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각종 갈등이 바른 용어를 쓰지 않은 데서 비롯되고 있고 이것이 통합을 저해하고 있다는 문제점에서 마련됐다.

발표에서 강규형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교수는 지난 1970~1980년대 북한 및 국내 안보 위해 세력들이 용어혼란 전술의 일환으로 사용하던 정치사상 및 역사 관련 용어가 이제는 정상 용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를 방치하면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위협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인영 한림대 정치행정학과 교수는 "정치 분야에서 정치적 목적 때문에 왜곡돼 정확한 개념을 잃고 있는 용어가 많다"며 "'사회민주화'와 '경제민주화'도 민주화라는 용어로 긍정적 이미지를 심으려는 정치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사회민주화'는 '복지확충'으로 '경제민주화'는 '경제적 평등의 추구'로 불러야 개념이 올바르게 전달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 교수는 보수와 진보 역시 왜곡된 용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진보는 좌파가 자신들의 좌파 이데올로기를 감추고 매력 있게 보이려고 만든 용어"라면서 "이는 이념적 측면에서는 '우파'와 '좌파'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복지 관련 용어가 잘못 사용되면서 복지 정책에 대한 이해와 정책순응 여부가 오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임병인 충북대 경제학과 교수는 '복지 수요'는 '복지 욕구'로, '복지 투자'는 '복지 지출' 또는 '복지재원 투입'으로, '사회보험 사각지대'는 '사회보험 미적용지대', '사회적 입원'은 '요양병원 무연고 거주' 또는 '불법 거주'로 바꿀 것을 제안했다.

조희문 인하대 영화예술학부 교수도 "사회주의 좌파 내에서는 창의적 문화·예술이 존재하기 어렵다"면서 이들이 왜곡된 용어를 앞세워 문화·예술을 이용한 이념화·조직화·세력화 작업을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문화제'는 '시위현장공연'으로, '국제연대'는 '외세동원조직화'로, '표현의 자유'는 '선동의 자유'로, '스크린쿼터'는 '강제상영'으로 바꿔 부를 것을 제안했다.

현진권 한경연 사회통합센터 소장은 "바른 용어를 쓰지 않는 데서 오는 혼란이 사회통합을 저해한다"면서 "지난 4월 개최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용어 바로잡기' 토론회에 이어 사회주의 좌파 용어 바로잡기에 나섰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