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의 밑그림이 드러나고 있다.
이번 대한도시ㆍ국토계획학회는 신행정수도의 규모 및 도시형태를 구체적으로 밝혀 최종 후보지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특히 신행정수도가 규모 `2,000만평`에다 도시형태를 `독립형 신도시`로 제시됨에 따라 그 동안 후보지로 거론됐던 곳 중 희비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신행정수도 후보지로 거론 됐던 곳은
▲공주 장기ㆍ연기지구
▲논산ㆍ대전 서남권
▲충북 오송지구 등 이었다.
한편 국토연구원, 대한도시ㆍ국토계획학회, 건설산업연구원 등 14개 기관으로 구성된 신행정수도연구단은 `신행정수도 이전의 인구감소 및 지역경제 파급효과`, `이전 대상기관`, `규모 및 도시형태` 등을 주제로 3차례에 걸친 공개세미나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대도시와 떨어진 분당 3배 규모 신도시 = 행정수도는 분당 3배 규모로 개발된다. 그 동안 도시성격 중 하나로 논의 됐던 대도시와 연계된 `신시가지형 개발`은 불가능해졌다. 신행정수도 상징성을 위해 대도시와 상당히 떨어진 `독립형 신도시`가 적합하다는 것. 이를 위해 부지는 주거지 433만평, 녹지 500만평 등 총 2,000만평, 인구는 50만명 수용 가능할 수 있는 규모에서 행정수도를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인구밀도는 선진국형과 우리 현실의 절충형으로 일본 다마뉴타운과 비슷한 ㏊당 350명이 제시됐다. 다만 토지가 부족할 경우 이상적이지는 않지만 ㏊당 400명(안양, 시흥, 일본 치바)까지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경우 아파트의 평균 용적률은 120~140%, 관리면적을 포함한 총 밀도는 ㏊당74명이 될 전망이다.
또 이전대상 기관은 청와대를 비롯한 중앙부처 등 행정기능 뿐 아니라 입법ㆍ사법ㆍ외교기능 등도 옮겨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어 이전기관 부지는 총 130만평이 책정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 집무시설 10만평, 중앙행정시설 36만평, 국회 및 관련시설 15만평, 사법시설 5만평, 외교시설 14만평, 일반업무시설 20만평, 상업 서비스시설 30만평 등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됐다.
◇후보지, 희비 엇갈려 = 그 동안 후보지로 거론됐던 곳들은 이번 발표로 인해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그 동안 유력후보지로 언급됐던 곳은
▲공주 장기지구
▲논산 계룡지구
▲충북 오송지구
▲천안ㆍ아산 신도시 등이다. 이중 천안ㆍ아산 신도시, 논산 계룡지구 등은 서울, 대전 등 대도시와 가깝다는 지리적 여건을 갖췄다. 그러나 이들 2곳은 연구단이 제시한 `원거리 독립형 신도시` 원칙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지역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반면 후보지로 거론됐던 곳 중 충북 오송지구, 공주 장기지구는 연구단이 제시한 조건에 충족하는 요건이 많다. 당초 300만~400만평 규모로 개발하려 했던 충북 청원군 강외면 쌍청ㆍ연제ㆍ만수리 일대 오송생명과학단지는 오창과학산업단지와 연계 개발할 경우 규모와 도시성격 조건에 부합한다. 이 곳은 대전, 청주, 조치원 등과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지역으로 산, 평야, 물이 어우러진 지형을 갖췄으며 충청남도에도 가까워 행정수도 유치를 위한 지역간 갈등도 최소화할 수 있다. 더구나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충청 내륙을 동서로 연결하는 충북선도 지난다. 또 경부고속철도 오송역사도 들어서는 등 사통팔달의 교통망이 최고 장점이다.
공주 장기지구ㆍ연기지구도 이번 조건에 부합하는 곳이다. 장기지구는 공주시 장기면 대교ㆍ도계ㆍ평기리 일대로 박 전 대통령이 행정수도 이전 계획을 세우면서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점지했던 자리. 북쪽으로는 멀리 차령산맥이 감싸고 바로 뒤쪽에 국사봉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한때 충청남도 도청 이전 대상지로도 떠올랐던 지역이다.
그러나 천안~논산고속도로가 개통됐음에도 충청 내륙인데다 서쪽에 치우쳐 있어 새 행정수도의 핵심 여건인 사통팔달의 원칙에서는 약간 벗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철균기자 fusioncj@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