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소사/ 10월 7일] <1519> 대동은전


1882년 10월7일, 조선이 대동은전(大東銀錢)을 선보였다. 대동은전은 모양이 옛날 돈과 크게 달랐다. 우선 가운데 구멍이 없고 뒷면 중심부에는 칠보를 입혔다. 은화였다는 점도 특징. 고려시대에 국토의 모양을 본떠 '은병화(銀甁貨)'라는 은화를 주조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실물이 전해지지 않아 대동은전을 최초의 은화로 분류하는 시각도 있다. 조선은 왜 넉넉하지 않은 재정여건에서, 그것도 은본위제도 도입을 시도(1891년)하기 한참 전에 은화를 만들었을까. 통화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돈을 원했기 때문이다. 개항 이후 교역이 늘어나는 가운데 외국 상인들이 악화인 당오전 등 구전을 거부하자 대안으로 내놓은 게 대동은전이다. 원료는 청나라에서 수입한 마제은(馬蹄銀). 무역의 대금결제용으로 통용되던 마제은 3만냥(약 1,125㎏)을 녹이고 뒷면 중앙의 칠보에 제작을 담당한 호조의 '호(戶)'자를 새겨 넣었다. 대동 1전, 대동 2전, 대동 3전 등 세 종류를 찍어 기존의 엽전과 다른 가치를 매겼다. 대동은전은 곧 사라졌다. 수입대금으로 외국에 넘어간데다 마제은의 국제가격이 올라 원료부족으로 9개월 만에 주조가 중단된 탓이다. 부유층도 청색과 녹색ㆍ초록색ㆍ흑색의 다양한 칠보가 들어간 대동은전을 돈보다는 화려한 귀금속으로 인식해 장롱 속에 모셨다. 오늘날 상태가 잘 보존된 대동은전이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200만원 선에서 거래되는 것은 퇴장수량이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초의 근대식 화폐가 사라진 뒤에도 조선은 신식 주조기를 수입하고 은본위제도와 금본위제도를 잇따라 도입하며 건실한 화폐경제 구축에 나섰으나 피폐해진 재정을 메워줄 초단기 수단인 악화 주조를 반복하다 끝내 망하고 말았다. 요즘에도 비슷한 소리가 들린다. 국채급증과 재정악화.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