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감 상실·도전기피등 부작용 초래업무성적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성과주의'는 단기성과 추구에만 집착, 보다 높은 목표에 도전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인재육성을 경시하게 만드는 등 부작용이 많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일본 사회경제생산성본부는 최근 개인의 직업 능력을 평가하는 직능제도를 기준으로 성과형을 조합한 다면적인 '일본형 성과주의' 도입을 제안하는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임금 성과주의는 ▲ 직장의 연대감 상실 ▲ 부하나 후배 육성 경시 ▲ 실패를 겁내 높은 목표 도전 기피 ▲ 개인의 노력과 업무 프로세스가 평가되지 않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가 하면 단순히 노동비용 억제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는 것.
또한 인사와 임금 시스템은 기업 풍토에 따라 형성되기 마련인데 임금 시스템만 바꿔서는 효과가 없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현재 일본 업계에서는 성과주의를 도입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데, 사회경제생산성본부의 이번 보고서는 성과주의 풍조에 파문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고 산케이신문이 30일 전했다.
정구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