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백내장 등과 함께 대표적인 노인질환으로 꼽히는 ‘황반변성(黃斑變性)’은 눈의 안쪽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이라는 신경조직의 기능이 저하돼 시력이 떨어지거나 실명할 수 있는 질병이다. 보통 50~60대에 나타나는데 65세 노인 중 10% 이상이 황반변성 질환을 앓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황반변성 치료제가 보험적용이 돼 환자의 부담이 줄기도 했다. ‘황반’ 조직은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으로 눈 세포의 대부분이 모여 있어 시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황반변성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노화와 가족력, 인종, 흡연, 콜레스테롤, 환경, 항산화비타민의 부족, 자외선 등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과 황반부의 두께가 얇고 조직이 약한 고도근시도 황반변성의 원인으로 거론된다. 초기에는 자각 증세가 없다가 시력저하와 함께 시야의 중심이 흐릿하게 보이고 직선이 휘어져 보이거나 시야에 흐릿한 점 같은 것이 보인다. 발전되면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며 시야의 중심이 검거나 비어 있는 부분이 보이기도 한다.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과 습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성 황반변성은 황반변성 환자의 90%를 차지하는데 대부분 시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중 10% 정도는 예후가 나쁜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될 수 있다. 습성 황반변성의 경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진행이 빨라 실명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망막의 중심이 되는 황반부 아래층에 비정상적으로 새로운 혈관이 생기는데 이 혈관이 팽창하다 터져 출혈과 부종을 일으키면서 시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약물치료와 주사요법이 있으나 더 이상의 진행을 막는 수준에서 이뤄진다. 황반변성 검사는 먼저 시력검사와 안압(안구 내 압력) 측정으로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눈을 최대 40배까지 확대해서 볼 수 있는 세극 등 검사로 눈 상태를 확인한 뒤 눈의 검은자인 동공을 약물로 확대시켜 살피는 안저검사와 컴퓨터단층촬영(CT)검사를 실시한다. 황반변성은 바둑판처럼 생긴 ‘암슬러격자’를 이용해 자가진단이 가능하다. 암슬러격자를 눈 앞 30㎝ 정도의 거리에 둔 뒤 한 쪽 눈을 가리고 가운데 점에 초점을 고정하면서 황반변성을 체크해보는 방법이다. 선이 곧게 보이지 않거나 작은 네모 칸이 일정한 크기로 보이지 않는 경우, 4개의 모서리가 보이지 않는 경우, 비어 있거나 뒤틀려 보이거나 희미한 부분이 있는 경우, 선이 물결 모양으로 휘어져 보이는 경우는 황반변성을 의심해볼 수 있다. 황반변성의 경우 꾸준한 정기검진과 한 달에 한 번 이상 암슬러격자를 이용한 자가진단, 항산화비타민 섭취, 규칙적인 운동 등으로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실명까지 가는 최악의 상황을 면하고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