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군이 처음 도입하는 공중급유기로 유럽 에어버스D&S사의 A330 MRTT(사진)가 선정됐다.
30일 한민구 국방장관 주재로 열린 제 89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는 유럽 에어버스D&S의 A330 MRTT와 미국 보잉의 KC-46A,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의 MMTT 등 3개 후보기종 가운데 유럽 에어버스D&S사를 우선협상대상자로 꼽았다.
유럽 에어버스D&S의 A330 MRTT는 미국 보잉사 KC-46A보다 15% 이상 가격이 비쌌으나 최근 유로화 약세로 가격 인하 요인이 발생한데다 보잉과 수주 경쟁을 의식해 파격적인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어버스사의 A330 MRTT는 여객기 A330-200을 토대로 제작됐으며 경쟁기종 가운데 가장 대형으로 급유기와 수송기를 겸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111t의 연료를 동체 뿐 아니라 날개 부위에 탑재 가능하다. 266명의 인원과 37t의 화물을 실은 채 공중급유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방위사업청은 “비용과 성능, 운용 적합성, 기술이전 또는 부품수출 등의 반대급부를 제공받는 절충교역 등 4개 분야의 평가와 가중치를 적용해 최종 기종을 선정했다”며 “어느 때보다도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로 기존 선정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공중급유기 4대를 도입하는 사업예산은 기체 구매예산 1조 2,000억여원에 격납고와 활주로 보강 등 시설 구축 비용 2,000억여원을 합해 모두 1조4,880억원에 이른다. 공군은 당초 2017년부터 공중급유기를 전력화할 계획이었으나 예산 확보가 늦어지면서 2018년 이후로 조정됐다. 공군은 2018년 2대, 2019년 2대 총 4대가 전력화될 예정이다.
공중급유기는 북한의 위협이 여전하고 동북아 안보 정세가 격화되는 상황에서 우리 공군의 전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것으로 기대된다. 공군 주력기들이 연료를 가득 채우고 완전 무장을 할 경우 F-15K의 독도와 이어도 작전임무 가능 시간은 각각 30분과 20분이며, KF-16는 각각 10분과 5분 이내에 불과해 사실상 작전임무가 불가능한 형편이다.
공군은 숙원 사업이던 공중급유기 도입에 따라 2018년 이후 F-15K의 작전임무 가능 시간은 독도 90여분, 이어도 80여분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또 작전임무 시간 증대 뿐 아니라 연료 대신 각종 미사일 등의 추가 탑재가 가능해져 개별 전투기의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