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5개월 동안 준비 끝에 내놓은 부품소재 경쟁력 제고대책은 ▦핵심 부품소재 자립화 ▦소재산업 집중육성 ▦기술인력 양성 및 지원 등 세가지로 요약된다. 만성적 수입품목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키우고 미래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분야는 먼저 치고 나가면서 기술인력을 양성해 기업들의 역량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정부의 정책방향도 크게 바뀌었다. 수입대체에만 쏠려 있던 관심을 세계시장으로 돌렸고 부품과 소재를 함께 개발하던 것에서 소재를 집중 육성하는 쪽으로 초점을 맞췄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1조원을 투자하는 10대 핵심소재와 2,000억원을 지원하는 20대 전략품목으로 무엇을 선정할지 관심이 높다. ◇오는 2012년까지 20개 핵심 수입품목 개발에 2,000억원 지원=정부는 수입 100대 부품소재 중 수입규모가 크거나 미래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20개 핵심품목을 내년 1월까지 선정할 방침이다. 특히 기술력이 부족한 67개 중 단기간에 국산화가 가능하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품목 등을 중심으로 10대 부품과 10대 소재를 고른다. 정부는 선정된 품목에 대해 30억원씩 지원해줘 수요기업과 부품소재기업이 2012년까지 개발을 끝내도록 할 계획이다. 또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R&D) 및 신뢰성 연구단계에서 글로벌 기업 협력사업을 추진해 개발된 품목을 수출로 연결시키고 일본시장에 대해서는 공동 R&D, 공동 표준화 등의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2018년까지 10대 핵심소재에 1조원 투입=미래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10대 핵심 소재에 대해 '고유 브랜드 소재 개발사업'이 추진된다. 녹색성장과 신성장동력 분야에서 고유 브랜드화가 가능한 핵심소재(WPM)를 선정해 내년부터 2018년까지 재정자금 1조원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시장확장성과 ▦기술의 원천성 ▦개발가능성 ▦기술의 파급효과 ▦기업의 참여의사 등이 고려된다. 현재 타이타늄ㆍ고분자전해질ㆍ나노글라스 소재 등은 의견이 모아졌지만 나머지는 업계의 의견을 받아 내년 1월 선정한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총 1조원의 예산투입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협의가 끝났다"며 "내년에는 500억 원 예산이 확정됐고 점차 늘려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간 1,000명의 연구인력 파견= 중소ㆍ중견기업의 연구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기업이 연구인력을 뽑으면 출연연구기관이 채용해 기업에 파견하는 제도가 내년부터 시행된다. 생산기술연구원ㆍ기계연구원 등 11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파견인력 인건비의 70%는 정부가 부담한다. 내년에 200명을 시범적으로 파견하고 2013년부터는 연간 1,000명 규모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또 내년 상반기부터는 4~5개 대학, 약 100명의 소재관련 학과의 학생을 선발해 교육비와 생활비를 전액 지원하고 졸업 후에는 취직을 알선해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