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안 오르네

2분기 실질임금 상승률 0%대로
5분기째↓…2년6개월래 가장 낮아
임시직 소득은 이미 마이너스


근로자의 실질임금 상승률이 0%대로 떨어졌다. 물가상승률이 1%대의 저물가를 이어가는데도 실질임금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것은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속도가 더딘 탓이다. 더욱이 최근 빠르게 늘고 있는 임시직의 경우 실질소득이 마이너스인 것으로 집계돼 고용구조 등 노동시장 전반의 변화를 줘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 2·4분기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월평균 277만2,64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76만7,830원보다 4,813원(0.2%) 증가했다. 이는 마이너스를 기록한 2011년 4·4분기(-2.4%)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낮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명목임금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제거한 것으로 근로자들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낸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지난해 2·4분기 3.4%에서 3·4분기 2.5%, 4·4분기 2.1%, 올해 1·4분기 1.8% 등 5개 분기 연속 축소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상승률이 1%대로 떨어지는 것은 물론 3·4분기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미 올해 상반기 실질임금 상승률(0.99%)은 0%대로 낮아져 있다. 명목임금 상승률도 올해 2·4분기 1.8%로 2011년 4·4분기(1.5%) 이후 가장 낮았다.

실질임금 상승률이 둔화된 것은 표면적으로는 기업들이 성과급·상여금 등 특별급여 인상폭을 크게 줄이고 있어서다. 이와 함께 노동시간이 비교적 짧고 저임금인 시간제, 비정규직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 노동시장 구조가 바뀌고 있는 것도 실질임금 상승률이 둔화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최근 월별 신규 취업자 수가 50만~60만명으로 고용은 상당한 호조를 보이고 있다"면서 "실질임금 상승률이 둔화하면 일자리 증가에도 가구당 실질소득은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고용은 늘어나는데 소비가 되지 않는 '기이한' 내수 부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