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샘물서 환경호르몬 검출

환경부, 10개제품조사… WHO기준보단 낮아국내에서 유통되는 일부 먹는 샘물에서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 6월 서울지역의 일부 생수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국립환경연구원에 긴급 의뢰, 전국 생수업체와 수입업체의 제품 및 생수병을 대상으로 환경호르몬 검출여부를 처음으로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미국이나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보다는 낮은 수준의 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전국 73개 먹는 샘물 제조업체 가운데 9개 업체의 원수와 병에 넣기 직전의 물, 제조후 3ㆍ6ㆍ9개월이 각각 경과한 제품 및 수입업체 1개사의 먹는 샘물과 병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결과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DEHP'의 경우 미국(6ppb)과 WHO(8ppb)의 기준치보다 낮은 3.87ppb이하로 나타났으며 'DEHA'도 미국(400ppb)과 WHO(80ppb)보다 훨씬 양호한 0.75ppb이하에 불과했다. 또 병에 대한 조사에서도 DEHP와 DEHA가 각각 12.8-381ppb와 0.62-34ppb가 검출됐으나 이에 대한 미국과 WHO의 기준치는 없으며 다만 유럽연합이 DEHP에 한해 5,000ppb의 기준을 갖고 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가 실시한 조사에서는 DEHA는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DEHP는 0.5-73ppb로 미국이나 WHO의 기준치를 훨씬 초과했었다. 그러나 환경부의 이번 조사는 시료 채취와 환경호르몬 추출용매, 추출조건 등에 있어서 기준치의 비교 대상인 미국이나 WHO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법적 기준치도 없는 일본의 분석방법을 이용, 설득력을 잃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환경부는 특히 서울시가 지난 6월에 실시한 검출방법도 임의적이라는 이유로 완전히 무시, 조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미국의 수질기준과 단순비교하는 것은 사실상 문제가 있다"고 인정하고 "내달부터 1년간 미국 환경보호청의 분석방법을 이용해 다시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오철수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