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부터)권점주 신한생명 사장, 김형진 신한데이타 사장, 양기석 신한PE 사장 |
|
| 서진원 신임 신한은행장이 30일 중구 신한은행 본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뉴 신한’ 창조를 다짐하며 임직원들과 악수를 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
|
신한금융지주가 30일 단행한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인사는 기존 경영진 간 분쟁 과정에서 불거진 조직 내 허물을 감싸 안겠다는 '탕평 코드'를 담고 있다. 아울러 경영관리 능력이 좋은 최고경영자(CEO)들이 상당수 유임 및 수평 이동됨으로써 그동안의 내실 경영 행진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도 읽힌다.
다만 이번 인사가 조직 내분 진정을 위한 봉합에 초점을 두다 보니 안정적인 중장기 경영진 승계 구도를 마련하는 데는 미흡하다는 과제를 남기게 됐다.
◇탕평 바탕으로 고객 신뢰 회복 나서야=신한지주는 서진원 행장 선임에 대해 "(경영진 간 분쟁으로 치닫던) 신한 상황이 일단락됐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고경영진 자리를 놓고 임원들이 이전투구했던 과거사를 벗고 새로운 모습의 신한, 즉 '뉴 신한'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임 행장은 이를 위해 내부 갈등을 조기에 수습하고 경영정상화 조치를 신속히 실행할 것이라고 신한지주 측은 설명했다.
금융권은 뉴 신한을 위한 서 행장의 액션플랜이 탕평 인사를 골자로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신한은행의 한 관계자는 "경영진 분쟁 과정에서 신한은행은 '제2인자(신상훈 전 신한지주 사장)' 측과 '제3인자(이백순 전 신한은행장)' 측 지지파로 갈려 내부적으로 마치 두 개의 은행이 된 것처럼 골이 생겼다. 이를 해결하는 것이 서 행장의 최우선 과제"라고 지적했다. 사태 수습을 위해 본의 아니게 전면에 선 임원과 간부ㆍ직원들이 있는데 이들을 특정 계파로 분류해 인사상 불이익을 준다면 회사가 위기에 처할 때 누가 희생을 하려 하겠느냐는 고언이다.
다만 탕평인사의 목적이 단순히 조직 안정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단순히 사기 진작을 위한 자리 나눠먹기식 인사는 오히려 더욱 밥그릇 챙기기로 비춰져 고객의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탕평인사는 ▦부당대출 원천봉쇄 시스템 마련 ▦경영자금 투명 공개 ▦내부 감사시스템 강화 등과 함께 단행돼야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사업 다변화, 조직 활력 재충전해야=탕평인사 등을 통해 조직을 추스른 후에도 서 행장에게는 풀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우선 지난 4개월간 경영사령탑이 마비되면서 지연됐던 각종 대외사업을 재추진해야 한다. 특히 해외 사업 진출 확대는 지난 4ㆍ4분기 중 거의 중단되다시피 했다. 신한은행이 최근 인도 공략 확대 등을 주창했지만 이에 앞서 중점 시장으로 꼽았던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 거점에서는 현지 은행 추가 인수합병(M&A)작업 등이 지연되고 있다.
신한은행의 주특기인 소매금융분야에서 과거의 '전투력'을 회복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 소매금융시장은 하나금융지주의 외환은행 인수 추진,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 등과 맞물려 폭풍전야다. 반면 신한은행은 조흥은행과의 통합 이후 조직 비대화로 인사적체와 조직 노화가 심화되고 있고 급여구조도 보수화됐다. 신한은행의 한 관계자는 "이제는 신한은행 직원 사이에서는 급여가 외환은행에도 못 미친다는 자조 섞인 비판이 나오고 있다"며 "성과를 내면 그에 합당한 보상을 해주는 합리적인 급여체계가 마련돼야 과거의 경쟁력을 되찾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안정적 경영 승계시스템은 과제로=신한지주가 주력 자회사 경영진의 임기가 대부분 만료되는 오는 2012~2013년 뒤를 바라보고 중장기적인 후계 경영구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따지고 보면 최근의 신한 사태는 경영승계가 제때 이뤄지지 못하면서 생긴 기존 경영진 간의 오해와 자리다툼으로 발생한 측면이 크다. 따라서 이번 인사로 임시 지혈을 하더라도 차세대 경영 후계자 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면 제2ㆍ제3의 신한 사태가 불과 몇 년 후에 재발될 수도 있다.
반면 류시열 신한지주 회장 직무대행은 중장기 경영승계 문제는 내년 2월 말께 선임될 차기 회장에게 맡기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이사회 산하 특별위원회가 차기 회장 선임 기준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는 오로지 차기 회장 선임에 국한된 기준일 뿐 이후 인사와는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는 직무대행이 중장기적인 경영구도에까지 손댈 경우 월권이라는 비판을 살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오히려 중립적인 위치의 직무대행이기 때문이 경영승계 구도를 더 공평하게 짤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