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포커스] 5년만에 다시 시험대 선 글로벌 경제

■ 미국 출구전략 결정 FOMC 개막
양적완화 소폭 축소하더라도 각국 중앙銀 통화정책 무용지물
신흥국 돈줄 말라 금융위기 우려… 금리 오르면 경기부양도 차질
출구 말만 해도 금리 오르는데… 실행땐 실물경제 타격 불가피



美국채 많이 보유한 中서 침체 탈출 유럽까지 충격파
기업 자금조달 비용 상승… 줄줄이 실적악화 가능성


글로벌 금융시장이 18일 오후2시(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의 컨스티튜션애비뉴에서 전세계로 긴급 타전될 일보를 기다리며 숨을 죽이고 있다.

이곳에 자리잡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17일부터 이틀간 회의를 열어 이날 양적완화 축소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연준이 이달부터 자산매입 규모 축소에 나설 경우 지난 2008년 11월25일부터 시작된 '칩머니' 시대도 5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된다.

미 경기 회복세가 아직 기대에 못 미치는 가운데 15일 강력한 차기 연준 의장 후보이자 '매파'인 로런스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이 자진 사퇴하면서 연준이 이번에 자산매입 규모를 기존의 월 850억달러에서 100억달러 정도만 줄이는 '미니 출구전략'에 들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하지만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조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5년 만에 또 한번 글로벌 경제의 지각변동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준이 시장 충격을 줄이기 위해 소폭의 양적완화 축소조치를 단행하더라도 선진국 중앙은행의 유동성 퍼붓기가 끝나간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연준의 출구전략이 단지 속도조절만 문제일 뿐 당장 눈앞의 현실로 닥칠 경우 글로벌 자금이 신흥국에서 금리가 상승하는 미국으로 이탈할 것이 뻔하다. 이는 최근 소강국면에 들어간 인도ㆍ인도네시아ㆍ터키 등의 금융위기 우려를 또 한번 촉발할 가능성도 있다. 세계경제의 중심축도 최소한 앞으로 5년간은 선진국으로 이동하는 한편 자금이 채권에서 주식으로 ?グ丙〈?그레이트로테이션이 가속화하는 등 자산시장에서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하이프리퀀시이코노믹스의 칼 웨인버그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금리가 조금만 올라도 환영할 만한 일이 아니다"라며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세계경제는 금리상승에 대한 준비가 아직 돼 있지 않다"고 우려했다. 1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연준의 출구전략은 구체적으로 이머징마켓을 비롯해 ▦유럽ㆍ일본 등 선진국 중앙은행 ▦중국ㆍ일본 등 각국 정부 ▦기업 등 4대 부문에 충격파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유럽중앙은행(ECB)ㆍ일본은행(BOJ) 등 다른 중앙은행의 통화완화 정책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시장 규모가 무려 13조6,000억달러에 달하는 미 국채의 금리상승은 글로벌 금리의 동반상승을 예고한다. 이는 2차대전 이후 최장기인 6분기 만의 경기침체에서 탈출한 유럽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또 외환보유액 형태로 미 국채를 가진 중국ㆍ일본 등 다른 나라 정부도 막대한 손실을 보는 한편 금리가 상승하며 경기부양에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전세계 기업들도 자금조달 비용이 늘면서 실적악화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연준이 이번에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한 뒤 오는 2015년 기준금리 인상 시간표를 제시했다는 게 신흥시장에는 위험 요인이다. 펀드조사 업체인 EPER에 따르면 올 6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출구전략을 시사한 후 신흥국 채권펀드와 주식펀드에서 빠져나간 돈은 각각 251억달러와 293억달러에 이른다.

FT는 "아직은 신흥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지만 양적완화 조치가 끝나고 결국 선진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외국인 자금유입 규모가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섣부른 출구전략은 미 경제도 위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 경제가 유럽 등에 상대적으로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지만 금리상승, 시리아 사태 등 해외 변수, 미 정치권의 예산전쟁이라는 리스크 요인이 대기하고 있는 탓이다.

우선 5월 2%에 못 미치던 10년 국채금리가 3%대에 근접하면서 기업 투자나 소비, 부동산 경기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손성원 캘리포니아주립대 교수는 "연준이 출구전략 계획에 대해 단지 말만 했는데도 금리가 오르고 있다"며 "실제 채권매입 규모를 줄이면 금리상승으로 실물경제가 손상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나 금리상승과 달리 시리아 사태나 예산전쟁은 통제영역을 벗어난다는 게 연준의 고민이다. 시리아 사태의 경우 미국과 러시아 간 합의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지만 장기화할 경우 유가상승을 초래해 글로벌 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또 양적완화 축소와 유가상승은 신흥시장 경기둔화로 이어지며 미 수출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부 예산한도 상향조정과 2014회계연도 예산안을 둘러싼 미 정치권의 이전투구가 2011년 미 국가신용등급 하향조정 때와 같은 대혼란을 촉발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피터슨연구소의 데이비드 스톡턴 국제경제담당은 "정치권의 싸움이 정부 디폴트까지는 아니더라도 여전히 큰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만약 미 정치권이 올해 안으로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하면 내년 말 중간선거 때까지 미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하지만 미 경제 회복세가 만족스럽지 않고 잠재위험 요인이 대기하고 있음에도 출구전략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 게 연준의 딜레마다. 그동안 시장에 공급한 막대한 유동성이 인플레이션 위험을 높이고 주식ㆍ부동산 등 자산거품을 초래할 뿐 경기회복 효과는 한계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연준 내부에서도 나오기 때문이다.

연준이 지난 5년간 푼 자금은 3조6,000억달러로 금융위기 이전의 네 배에 달하고 내년 여름에는 4조5,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출구전략을 미루다가는 나중에 엄청난 후폭풍에 시달릴 수 있다는 점을 연준은 우려한다. 더구나 9월 양적완화 축소를 기정사실화한 시장의 예상을 무너뜨릴 경우 금융시장 혼란을 불러올 수도 있다.

연준의 출구전략은 내년 1월 퇴진하는 버냉키 의장의 개인적 동기에서 출발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양적완화 조치를 단행했지만 자산거품 해소의 단초를 마련했다는 후대의 평가를 받고 싶어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데이비드 위스 브라운 대학 경제학 교수는 "단지 경제만 놓고 본다면 연준이 더 기다릴 것"이라며 "버냉키 의장은 새 의장이 오기 전에 채권매입 프로그램 축소에 들어가기를 원한다"고 설명했다.

2008년 금융위기가 전세계의 어느 누구도 원치 않는 가운데 불쑥 들이닥쳤듯이 연준의 출구전략 역시 어쩔 수 없이 시작되고 있다는 뜻이다. "(양적완화의) 출구가 그랬듯이 출구 또한 우리를 미지의 영역으로 이끌 것"이라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의 말대로 이래저래 전세계 경제는 극도의 불투명성과 불안감 속에서 5년 만에 또다시 새로운 방향성을 타진해야 하는 시점에 도달한 셈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