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들 요금인하 칼바람에 떤다

방통위, 요금제 전반 재검토… 與도 "초당과금제 법제화" 압박
업계 "시련의 계절" 초긴장

이통사들 요금인하 칼바람에 떤다 방통위, 요금제 전반 재검토… 與도 "초당과금제 법제화" 압박업계 "시련의 계절" 초긴장 송영규 기자 skong@sed.co.kr 이동통신사들이 때아닌 요금인하 칼바람에 떨고 있다. 정부가 무선데이터서비스를 포함한 요금제 전반에 대한 재검토에 돌입한 데 이어 여당에서도 초당과금제 도입을 법제화하겠다고 나서는 등 압박의 강도를 높이자 이통사들은 "시련의 계절이 시작됐다"며 극도로 긴장하는 모습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나라당 김기현 의원(울산 남구을)은 이날 현행 10초 단위 요금제를 1초단위로 변경해 요금을 대폭 인하할 수 있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발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통사가 1회 통화사용량을 10초 단위로 집계해 부과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막대한 미사용 통화 비용을 징수하고 있다"며 "불합리한 현행 요금제를 개선해 국민의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만약 김 의원의 주장대로 이 제도가 도입될 경우 이통사는 추가 수입의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방송통신위원회 역시 통신요금정책 전반을 들여다 보겠다며 이통사를 압박하고 있다. 방통위의 한 관계자는 "초당 과금제 뿐만 아니라 무선데이터 요금 등 이통사의 요금체제 전반에 대해 다시 검토하고 있다"며 "합리적인 요금체계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방통위는 지난 6월 저소득층의 요금부담 경감을 위해 이통사들로 하여금 통신요금 지원 대상을 기초생활수급자에서 차상위계층까지 확대하고 할인폭도 대폭 늘리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방안으로 이통사가 손해 볼 금액은 5,5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와 여당의 요금인하 압력에 이통사들은 '더 이상 말할 기력도 없다'며 자포자기하는 모습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올 초엔 망내할인 도입, 결합상품 할인율 확대, 얼마전까지는 저소득층 지원으로 진을 빼더니 이번에는 요금제의 근간까지 흔들고 있다"면서 "얼마나 더 맞아야 끝이 날 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