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3월 31일] '3室기자를 아십니까'

SetSectionName(); [기자의 눈/3월 31일] '3室기자를 아십니까' 임세원 기자(정치부) why@sed.co.kr

'3실(室)기자를 아십니까.' 지난 1970~1980년대 군사정권 시절 국방부를 담당하던 기자를 일컫던 말이다. 여기에는 국방부 출입기자가 기자실ㆍ대변인실ㆍ화장실에만 드나들 수 있어 취재가 자유롭지 못했다는 자조가 배어 있다. 당연히 민감한 사안과 정보들은 아예 접근조차 할 수 없었다. 세월이 흘렀지만 국가안보를 이유로 국방 분야의 정보공개 범위가 제한되는 일은 여전하다. 천안함 침몰 사태가 벌어진 지 닷새가 흐른 지금 같은 관행이 국회에서 재연됐다. 29일 오전10시 민주당의 긴급원내대책회의. 해군 측의 보고를 듣기 위해 합동참모본부장과 해상작전과장을 불렀다. 하지만 2시간가량 이어진 비공개 보고가 끝난 뒤 민주당은 해군 측이 "더 조사해봐야 안다"는 답변으로 일관했다고 전했다. "2시간 동안 질문만 하다 끝난 셈"이라는 게 참석했던 의원의 토로다. 그로부터 2시간 뒤 열린 국회국방위원회 회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여야 의원들은 여러 의혹을 제기했지만 국방부 장관은 "가능한 원인을 열 가지 늘어놓은들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되물었다. 보다 못한 의원들이 목소리를 높이자 장관은 "현장 상황을 잘 몰라서 그러시는데…"라며 설명을 이어갔지만 의원들은 여전히 의구심이 담긴 표정을 지었다. 국방위 회의 중계를 지켜보던 시청자들이 "구조를 지휘해야 할 장관이 왜 국회에 있느냐"고 항의한 이유도 국방부의 속 시원한 답변이 나오지 않은 탓이 크다. 이런 와중에 사고 순간의 동영상이 발견됐지만 국방부는 '내용이 특별하지 않다'며 공개를 거부하다 '또 숨긴다'는 빈축을 샀다. 국방위 소속 의원들은 국방부가 이 사건을 '영구 미제'로 남기려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을 품는다. 원인이 무엇이든 안보에 허점이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고원인을 가릴수록 국민의 불신은 더해간다. 국방부는 정보공개를 가로막기 전에 '국민이 군을 믿지 못하는 상황이 안보 불안'이라는 지적부터 되새겨야 하지 않을까.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