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경제 대외 리스크 대비 위해 금융안정 중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서경 금융전략포럼에서 뮤추얼펀드발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을 경고했다. 세계 10대 자산운용사가 고위험 고수익 채권에 자산의 절반 이상을 운용하는 뮤추얼펀드 등에 19조달러를 투자하고 있는데 포트폴리오를 1~5%만 조정해도 2,000억~1조달러의 자금이 요동을 치며 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국들을 외환위기에 빠뜨려 글로벌 금융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잠재적 위험요인은 전 세계적인 금융완화로 유동성이 넘쳐나는데다 금융의 국가 간 연계성 확대 추세와 맞물려 현실화할 가능성을 더욱 키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물 부문의 위험추구 경향이 약화하고 위기의 진원지였던 은행권도 몸집을 많이 줄였지만 자산운용사 등 비은행 금융 부문의 위험추구 경향은 과할 정도라는 게 세계 중앙은행 총재들의 공통적인 평가이기도 하다. 그러잖아도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와 금리인상을 앞두고 벌써부터 자금이 빠져나가 어려움을 겪는 신흥국들이 적지 않다. 경상수지 흑자행진을 이어가는 우리나라에서조차 최근 수조원이 빠져나갔다.

선진국으로의 자금쏠림으로 신흥국들의 외환·금융위기가 일어난다면 소규모 개방경제이자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입장에서도 충격이 만만찮을 것이다. 이미 전 세계적인 저성장 장기화와 저물가에 내수부진까지 겹쳐 내우외환에 시달리는 마당이다.

자칫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려면 가계부채 누증, 자본유출 가능성 등 한국 경제의 취약점이 악화하지 않도록 금융안정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이 총재의 지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대외 리스크에 철저히 대비하면서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잠재성장률을 높이는 정책도 동반돼야 한다. 정부와 한은 모두 미국을 포함한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시나리오별 금융·외환시장 안정화 조치에 빈틈이 없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