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매수세가 끊겼다

최근 서울시가 주택재건축 기준을 강화하는 내용의 조례안을 확정함에 따라 재건축 투자시장이 한층 더 얼어붙고 있다. 안전진단을 통과한 아파트마저 거래가 사라진 것. 6일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개포지구 주공1~4단지, 강동구 고덕지구 주공1~4단지 등 예비 혹은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재건축아파트들의 거래가 뚝 끊겼다. 또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처럼 새 조례안이 정한 재건축허용 연한을 넘긴 단지들에서도 가격이 제자리 걸음을 치는 등 매매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사업승인 2~3년 연기 우려로 거래 뚝 = 이는 서울시가 새 조례안을 통해 잠실, 청담ㆍ도곡 등 5개 저밀도지구 이외의 재건축 단지에 대해서도 사업계획승인 시기조정을 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안전진단을 통과했거나 곧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도 시기조정으로 인해 사업계획승인 시기가 2~3년가량 늦춰질 가능성이 있어 매수세가 완전히 끊겼다는 것 고덕주공1단지만 해도 이미 안전진단을 통과해 지난 달에는 조합설립인가까지 받았지만 서울시의 이번 조례안 발표 이후 급매물마저도 거래가 안 되고 있다. 이 아파트 13평형의 경우 매도호가(4억6,000만~4억8,000만원)보다 3,000만원가량 낮은 4억5,000만원에 매물이 있지만 계약이 안되고 있다. 개포지구에서도 사정은 비슷하다. 개포주공1단지 13평형의 경우 안전진단통과의 여파로 매도호가는 한달 전보다 6,000만원가량 오른 4억7,000만원 선까지 뛰었지만 사업승인 시기를 예측할 수 없어 매수자가 없다. 이 지역의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매수비용의 절반을 은행에서 대출받아 투자를 할 경우 사업시기가 2~3년 늦춰지면 4,000~6,000여 만원의 금융비용을 더 들여야 한다”며, “따라서 매수자들은 그만큼 시세가 더 떨어지길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전진단 미통과 단지도 거래가뭄 극심 = 그나마 안전진단도 통과하지 못한 단지에선 거래 가뭄현상이 더욱 심하다. 가격이 낮아지면 사겠다던 매수 대기자들마저 떨어져 나가고 있는 것. 강동구 둔촌지구 주공아파트의 경우 아파트의 준공연도가 80~81년으로 제각각인 탓에 2005년 이후에나 재건축을 허용 받을 수 있다. 또 강남구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이미 재건축허용 기준연한을 충족하고 있지만 새 조례안에 따라 시장의 판단이 정밀안전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낙관을 하기 어렵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