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플루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회복세를 보이는 우리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상반기까지 성장세를 지속해온 교육서비스업이 3ㆍ4분기 들어 지난 1999년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신종플루의 영향이 작용한 결과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더구나 국내에서도 고위험군이 아닌 사망자가 발생하는 사례가 늘어나자 호텔ㆍ콘도 등 다중수용시설 이용자들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또한 지난주 말 미국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후로는 해외여행 취소도 크게 늘어났다고 한다. 신종플루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대책을 보완하고 예상 외로 커질지 모르는 경제 충격에도 대비해나가야 한다.
경제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겨울철 신종플루 확산을 막아야 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신종플루가 1968년의 '홍콩독감'과 비슷한 규모로만 확산돼도 국내 경제성장률이 최소한 0.8%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에서 신종플루 확산은 음식ㆍ숙박업, 문화ㆍ오락서비스업, 운수ㆍ보관업 순으로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들 업종은 대체로 서민이나 자영업자들이 많은 분야라는 점에서 별도의 대응책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경제가 본격적으로 회복되기 전에 다시 서비스 분야의 위축이 본격화한다면 내수 활성화에 상당한 지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또한 올 들어 이미 수십개 국에서 신종플루와 관련해 검역강화나 통관 장기화 등 교역규제가 늘어났다는 것이 세계무역기구(WTO)의 분석이다. 금융위기에다 신종플루 폐해까지 겹칠 경우 국제물동량이 축소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신종플루와 연관돼 우리 제품의 수출길이 막히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신종플루 문제가 갈수록 악화되는 것은 그동안 대응책이 허술했기 때문이다. 국민들의 불안심리가 커질 것을 우려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지 않고 학교 휴업기준 등도 구체적으로 내놓지 않아 안이한 대응이 재난을 키운 셈이다. 지금부터라도 효과적인 대응책을 마련해 국민이 신종플루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우선 비상의료체계부터 제대로 작동하는 것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