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해외유동성 점검

금감원, 美보복전 대비 테러 대참사와 관련 미국이 보복을 천명한 가운데 금융당국이 향후 전쟁에 대비,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유동성 및 중동지역 금융회사들의 안전 등에 대한 일제 점검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16일 미국의 보복전이 이뤄질 경우 세계금융시장이 위축되면서 해외차입금의 차환발행이 어렵게 되는 등 유동성에 일시적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각 금융회사들의 해외유동성 점검에 나섰다. 금감원 관계자는 "미국의 보복이 중동지역으로 제한될 가능성이 높아 일단 국제결제시스템이 손상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국제금융시장이 위축되면서 만기도래한 해외차입금의 차환발행이 어려워지는 등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는 있을 것으로 판단돼 각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유동성 점검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일단 유동성이 풍부한 만큼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를 가정해 차입선 다변화, 장기자산의 단기자산화 등 대책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중동지역내 국내 금융회사인 바레인 소재 외환은행과 한빛은행의 전쟁 대비상태 등을 점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중동지역에 있는 국내 금융회사는 이 곳에 진출한 국내 건설회사의 자금관리를 하는 바레인의 외환은행과 한빛은행이 유일하다"며 "두 금융회사에 나가 있는 한국인 직원 7명의 안전대책을 최우선으로 수립할 것을 이들 회사 본사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자료소실에 따른 대책과 함께 전쟁이 확전 될 경우 인근 점포인 런던사무소로 이전하는 방안 등 만전의 대비를 할 것을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김영기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